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226.911
도서 조선 왕릉의 사찰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NE0000074560 [열린]종합자료실
226.911-탁322ㅈ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숭유억불의 시대, 조선에서 왕릉을 지킨 것은 사찰이었다! 이 책은 조선시대 왕릉을 수호했던 사찰을 학술적으로 다룬 첫 번째 연구서이다. 조선시대는 흔히 숭유억불의 시대로 알려져 있지만 조선왕조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왕릉에는 500여 년간 왕릉의 제사를 돕고 왕릉을 보호 · 관리하는 사찰들이 설치되었다. 조선초기에 재궁으로 불리던 이들 사찰은 조선중기에는 능침사로 조선후기에 들어서면 조포사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조금씩 역할이 변모해갔다. 조선 왕릉수호사찰은 왕실 불심의 기반과 승군 노동력의 우수성을 활용하려는 국가정책, 그리고 억불시대를 극복하기 위한 승려들의 노력을 기반으로 조선시대 내내 유지되었다. 이 책은 이들 사찰을 통해 조선 왕릉이 단순히 유교적 시설물이 아니라 한국인의 내세신앙이 내재된 유불융합의 문화적 산물이었음을 밝히고 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조선 왕릉의 사찰 - 탁효정 지음
조선시대 왕릉을 수호했던 사찰을 학술적으로 다룬 첫 번째 연구서. 이들 사찰을 통해 조선 왕릉이 단순히 유교적 시설물이 아니라 한국인의 내세신앙이 내재된 유불융합의 문화적 산물이었음을 밝히고 있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83041128&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책을 내며

서 론 1 5
왜 왕릉에 사찰을 설치했을까 | 조선 왕릉을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 수호사찰의 존재 | 왕릉수호사찰의 또 다른 이름 ‘능침사’ | 왕릉수호사찰의 시기 구분 | 조선 왕릉수호사찰 관련 자료 | 조선 왕릉에 딸린 62개 수호사찰의 의미

1부 왕릉수호사찰의 기원과 변천

1장 중국 역대 왕조의 능침사 29

능+침의 기원 | 문헌상 최초의 능침사, 후한 백마사 | 고고학상 최초의 능침사, 북위 사원불사 | 남조 양무제가 세운 황기사 | 수당대 확대된 능침사 | 북송대 완성된 능침사 제도 | 남송대 이후 사라진 능침사의 전통

2장 삼국시대의 왕릉수호사찰 42
1. 고구려 왕릉과 능침사 43
고구려 왕릉의 불교 요소 | 전동명왕릉의 능침사: 평양 정릉사지
2. 백제 왕릉과 능침사 49
백제 왕릉의 불교 요소 | 성왕의 능침사: 부여 능산리사지
3. 신라 왕릉과 능침사 56
신라 왕릉의 불교 요소 | 문무왕의 능침사: 경주 감은사지 | 신라 성전사원의 운영 | 성전사원의 성격

3장 고려시대 왕릉수호사찰 71
1. 고려 왕릉과 조성숭배시설 71
고려 왕릉 현황 | 고려 왕릉의 원형, 태조 왕건의 현릉 | 조선 왕릉의 원형이 된 공민왕 부부의 현·정릉 | 고려 왕실의 조상숭배시설
2. 진전사원의 설치 현황과 특징 81
󰡔고려사󰡕에 실린 진전사원 | 역대 왕의 진전사원 현황 | 별묘의 기능 | 왕릉의 수호와 관리 | 국왕의 정치적 기반

2부 조선시대 왕릉수호사찰 현황

4장 조선초기의 왕릉수호사찰 103

1. 이성계 4대조 묘의 봉릉과 재궁 103
4대조 묘를 왕릉으로 추봉 | 불교식 재궁의 설치
2. 태조 건원릉의 수호사찰 110
건원릉 조성과정 | 건원릉 능침사: 개경사 | 왕실 축원도량으로 활용된 개경사 | 개경사의 이전과 폐사 | 동구릉과 태·강릉의 조포사: 불암사, 석천사 | 불암사 의 지속적인 재정난
3. 태조 원비 신의왕후 제릉의 수호사찰 120
제릉 조성과정 | 제릉 능침사: 연경사 | 왕실의 지속적인 보호와 지원
4. 태조 계비 신덕왕후 정릉의 수호사찰 125
정릉 조성과정 | 정릉 능침사: 흥천사 | 복릉 후의 조포사: 신흥사
5. 정종과 정안왕후 후릉의 수호사찰 129
후릉 조성과정 | 후릉 능침사: 흥교사
6. 태종과 원경왕후 헌릉의 수호사찰 133
헌릉 조성과정 | 능침사가 없는 첫 왕릉 | 태종의 능침사로 잘못 기재된 회암사 | 헌릉 조포사: 봉헌사, 봉서사, 자운암 | 헌릉에 유독 조포사가 많았던 이유
7. 세종과 소헌왕후 영릉의 수호사찰 140
영릉 조성과정 | 보은사 창건의 무산 | 영릉 능침사: 신륵사
8. 문종과 현덕왕후 현릉의 수호사찰 144
현릉 조성과정 | 현릉 능침사: 개경사
9. 단종 장릉의 수호사찰 146
장릉 조성과정 | 노산군묘를 수호한 노릉암 | 장릉 조포사: 보덕사 | 조포속사: 남장사
10. 단종 원비 정순왕후 사릉의 수호사찰 152
사릉 조성과정 | 수호사찰 대신 해주정씨 집안이 관리

5장 조선중기의 왕릉수호사찰 155

11. 세조와 정희왕후 광릉의 수호사찰 155
광릉 조성과정 | 광릉 능침사: 봉선사 | 봉선전의 과도기적 특징 | 어실의 철 폐와 복구 | 내수사에서 관리한 봉선사 위전
12. 덕종과 소혜왕후 경릉의 수호사찰 164
경릉 조성과정 | 의경세자 재사로 창건한 정인사 | 수국사는 정인사터에 세 워졌을까 | 서오릉 조포사: 수국사 | 대한제국 황실 원찰로 재탄생하다
13. 예종과 안순왕후 창릉의 수호사찰 174
창릉 조성과정 | 창릉 능침사: 정인사
14. 예종 원비 장순왕후 공릉의 수호사찰 176
공릉 조성과정 | 공릉 조포사: 운신암 | 파주삼릉 조포사: 보광사
15. 성종과 정현왕후 선릉의 수호사찰 180
선릉 조성과정 | 선릉 능침사: 견성사 | 사찰 이전 후 봉은사로 사액 | 열성조 의 위패 봉안
16. 성종 원비 공혜왕후 순릉의 수호사찰 184
순릉 조성과정 | 순릉 조포사: 화성암
17. 중종 정릉의 수호사찰 186
정릉 조성과정 | 정릉 능침사: 봉은사 | 순회세자 부부의 원당 설치
18. 중종 원비 단경왕후 온릉의 수호사찰 190
온릉 조성과정 | 온릉 조포사: 봉온암, 흥국사
19. 중종 계비 장경왕후 희릉의 수호사찰 194
희릉 조성과정 | 희릉 조포사: 고향사, 대자사 | 서삼릉 조포사: 보광사
20. 중종 계비 문정왕후 태릉의 수호사찰 197
태릉 조성과정 | 태릉 조포사: 불암사
21. 인종과 인성왕후 효릉의 수호사찰 199
효릉 조성과정 | 효릉 조포사: 고향사. 대자사, 보광사
22. 명종과 인순왕후 강릉의 수호사찰 201
강릉 조성과정 | 강릉 조포사: 불암사

6장 조선후기의 왕릉수호사찰 ·············································· 2 0 4

23. 선조와 의인왕후·인목왕후 목릉의 수호사찰 204
목릉 조성과정 | 목릉 조포사: 불암사
24. 원종과 인헌왕후 장릉의 수호사찰 207
장릉 조성과정 | 장릉 조포사: 봉릉사
25. 인조와 인열왕후 장릉의 수호사찰 210
장릉 조성과정 | 장릉 조포사: 검단사
26. 인조 계비 장렬왕후 휘릉의 수호사찰 213
휘릉 조성과정 | 휘릉 조포사: 불암사
27. 효종과 인선왕후 영릉의 수호사찰 215
영릉 조성과정 | 영릉 조포사: 신륵사
28. 현종과 명성왕후 숭릉의 수호사찰 217
숭릉 조성과정 | 숭릉 조포사: 불암사
29. 숙종과 인현왕후·인원왕후 명릉의 수호사찰 218
명릉 조성과정 | 명릉 조포사: 수국사 | 조포속사: 용문사, 성흥사, 반룡사
30. 숙종 원비 인경왕후 익릉의 수호사찰 221
익릉 조성과정 | 익릉 조포사: 수국사
31. 경종과 선의왕후 의릉의 수호사찰 222
의릉 조성과정 | 의릉 조포사: 청량사, 연화사, 만수사
32. 경종 원비 단의왕후 혜릉의 수호사찰 226
혜릉 조성과정 | 혜릉 조포사: 불암사
33. 영조와 정순왕후 원릉의 수호사찰 227
원릉 조성과정 | 원릉 조포사: 불암사
34. 영조 원비 정성왕후 홍릉의 수호사찰 229
홍릉 조성과정 | 홍릉 조포사: 진관사, 수국사
35. 진종과 효순왕후 영릉의 수호사찰 231
영릉 조성과정 | 영릉 조포사: 칠장암, 보광사 | 조포속사: 미황사
36. 장조와 헌경왕후 융릉의 수호사찰 234
융릉 조성과정 | 현륭원 조포사: 용주사 | 사도세자 위패를 봉안한 제각 건립 | 불교계 중심 사찰로 부상하다
37. 정조와 효의왕후 건릉의 수호사찰 241
건릉 조성과정 | 건릉 조포사: 용주사
38. 순조와 순원왕후 인릉의 수호사찰 243
인릉 조성과정 | 인릉 조포사: 검단사, 불국사 | 조포속사 만덕사, 금탑사
39. 문조와 신정왕후 수릉의 수호사찰 247
수릉 조성과정 | 수릉 조포사: 화양사, 불암사 | 조포속사: 동화사
40. 헌종과 효현왕후·효정왕후 경릉의 수호사찰 251
경릉 조성과정 | 경릉 조포사: 불암사
41. 철종과 철인왕후 예릉의 수호사찰 253
예릉 조성과정 | 예릉 조포사: 대자사
42. 고종과 명성황후 홍릉의 수호사찰 255
홍릉 조성과정| 명성황후릉 조포사: 연화사
43. 순명효황후 유릉의 수호사찰 259
유릉 조성과정 | 유강원 조포사: 영화사

3부 조선 왕릉수호사찰의 변화와 특징

7장 조선초기: 불교식 재궁의 설치 265

12기 능에 설치한 불교식 재궁 | 국왕의 주도로 설치 | 능역 내에 위치한 수호사찰 | 재궁(齋宮)으로 불리다 | 진전의 부재

8장 조선중기: 왕릉 제도에서 소외되다 276
11기 왕릉 중 6곳만 조성된 능침사 | 대비의 주도로 조성 | 왕릉 제도에서 배제되 다 | 새롭게 등장한 어실 | 능역 밖으로 밀려나다

9장 조선후기: 조포사의 등장 286
두 차례 전쟁 이후 부각된 승군의 우수성 | ‘조포’의 의미 변화 | 수륙재의 필수 음식 ‘두부’ | ‘조포사’의 등장 | 동북면 8릉을 관리한 지사승 | 18세기 후반 조포 사의 정비 | 󰡔묘전궁릉원묘조포사조󰡕에 기재된 52개 조포사 | 어실이 사라지다 | 왕릉 제도에 편입되다 | 조포사가 담당한 막대한 잡역 | 조포사를 보조하는 속 사의 등장

결론: 조선 왕릉수호사찰의 역사적 의미 321
1. 건축적 의미: 사찰 안에 들어선 유교식 사당 321
왕의 위패를 봉안한 어실 | 폐쇄적 가람 배치
2. 경제적 의미: 능의 효율적 관리와 비용 절감 334
능역의 보호 | 산릉 관리의 비용 절감
3. 종교적 의미: 효(孝)와 정토(淨土)의 결합 340
정토왕생을 발원한 기도처 | 유불융합의 조상숭배시설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