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684.0911
도서 블랙아웃, 블랙리스트와 미투 : 김옥란 연극평론집
  • ㆍ저자사항 지은이: 김옥란
  • ㆍ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21
  • ㆍ형태사항 338 p. ; 20 cm
  • ㆍ일반노트 색인 수록
  • ㆍISBN 9791159056505
  • ㆍ소장기관 논산열린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NG0000002786 [열린]종합자료실
684.0911-김692ㅂ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블랙아웃, 블랙리스트와 미투」는 연극평론가 김옥란의 네 번째 연극평론집이다. 이 책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공연된 한국연극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 시기는 블랙리스트 이후, 그리고 미투 운동 이후의 시간들이다. 연극무대보다 더 극적인 시간들이 광장에서 흘러갔다. 촛불집회 현장은 우리 사회의 거대한 블랙아웃, 곧 거대한 암전의 장면전환 시간들이었다. 그리고 2018년 2월 ‘#미투’ 폭로로부터 비롯된 미투운동으로 또 한 번의 블랙아웃의 시간이 찾아왔다. 이 시간들을 통해 우리 사회는 이전으로 결코 돌아갈 수 없는 거대한 전환의 시간을 겪었다. 2016년과 2018년의 시간은 우리 사회의 거대한 블랙아웃이자 한국연극의 블랙아웃의 시간으로 기억된다. 블랙아웃, 한국연극의 장면전환 블랙아웃(blackout)은 연극무대에서 암전(暗轉)을 뜻한다. 일상생활에서는 정전(停電)이나 전자기기가 갑자기 먹통이 되는 일을 가리킨다. 연극제작과정에서 연습팀이 극장에 들어가서 가장 마지막에 확인하는 일이 블랙아웃 테스트, 곧 암전 테스트다. 암전 테스트는 극장의 불을 모두 껐을 때 새어나오는 빛이 없는지 마지막으로 확인하는 일이다. 무대의 시간은 암전 상태에서 빛이 흐르면서 흐르기 시작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칠흑 같은 어둠이 먼저 있어야 한다. 공연은 암전과 함께 시작된다. 객석 조명이 꺼지면 관객은 일상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감각을 끄고 공연에 몰입하게 된다. 다른 시간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막과 막 사이, 혹은 장과 장 사이에도 암전이 있다. 막과 장이 바뀌면 이전으로 돌이킬 수 없는 다른 시간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2016년과 2018년 사이의 한국연극은 그런 의미에서 두 번의 거대한 암전 상태를 겪었다고 할 수 있다. 블랙리스트와 미투는 이 시기 한국연극의 장면전환을 상징하는 말들이다. 실제로 이 시기 이후 관객들은 이전과는 완전히 달라진 태도로 공연을 보고 있다. 피해자다움의 강요가 아닌 피해자 중심 관점, 공연의 결과물뿐만 아니라 제작과정에서의 윤리적 관점도 중요하게 공감되고 있다. 그리고 장애인과 성 소수자 연극이 본격적으로 조명되기 시작하였다. 2016년과 2018년까지 짧은 시간 동안 어느 때보다 많은 일들이 있었다. 이전으로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시간 속에서 새로운 인물들이 등장하고 있고, 그들이 만들어가는 새로운 연극들이 무대를 채우고 있다. 세월호에 대한 슬픔의 연대 속에서, 블랙리스트 검열반대의 운동을 통해서, 그리고 미투운동의 뼈아쁜 시간 속에서 한국연극과 관객들은 무대의 안과 밖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단단해지는 시간을 함께 지나고 있다. 이 책은 이 시기에 대한 가장 가까운 객석의 한 자리에서 보고 나누었던 일들을 충실히 기록하고 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블랙아웃, 블랙리스트와 미투 - 김옥란 지음
연극평론가 김옥란의 네 번째 연극평론집이다. 이 책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공연된 한국연극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 시기는 블랙리스트 이후, 그리고 미투 운동 이후의 시간들이다. 연극무대보다 더 극적인 시간들이 광장에서 흘러갔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83088091&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책머리에_ 블랙아웃, 한국연극의 장면전환 3

제1부 블랙리스트와 미투
블랙리스트를 넘어, 국립극단과 대학로 연극의 풍경
2015 국립극단 공연 총평 15
2017 공연예술계를 돌아보다-국공립극단의 역할은? 27
국립극단 프로그램 분석과 정체성 30

한국연극과 페미니즘, ‘미투’와 새로운 감각의 확장
다시 페미니즘! 한국연극과 젠더 이슈 61
미투혁명 선언, 공연예술계 변화의 시작 77
중국연극과 여성인물 87

제2부 광장의 어머니 헤베카에서 공옥진까지
블랙리스트 검열과 이후, 박근형과 김재엽, 그리고 <워 아이 차차차>까지
리어와 햄릿, 현재 시제의 기국서와 박근형―<리어의 역>ㆍ<죽이 되든 밥이 되든> 103
그가 내민 여러 개의 손 ―<김정욱들> 112
두 개의 국민, 두 개의 언어, 두 개의 광장―<검열언어의 정치학-두 개의 국민> 116
게임은 오버! 세계는 파산? ―<게임> 120
오스터마이어의 파격, 입센의 폭발력 ―<민중의 적> 124
독재자도 죽었고, 이상주의자도 죽었다 ―<줄리어스 시저> 128
이방인들의 연극 ―<내 나무의 숲>ㆍ<오셀로> 132
아주 가까운 중국, 그보다 더 가까운 중국 현대연극 ―<물고기인간>ㆍ<워 아이 차차차>ㆍ<낙타상자>ㆍ<최후만찬> 141
대박과 쪽박, 텅텅박과 독박 ―<흥보씨> 148

세월호에 대한 시적 분노, <헤카베> 광장의 어머니에서 <미스 줄리>까지
송곳 같은 연극 ―<페스트> 155
낙원의 사과, 주방의 칼 ―<미스 줄리> 159
찰떡 같고 꿀떡 같은 블랙코미디 ―<광주리를 이고 나가시네요, 또> 163
헤카베, 광장의 어머니 ―<헤카베> 167
물에 대한 잔인한 기억의 재구성―<할미꽃단란주점 할머니가 멜론씨를 준다고 했어요> 171
탕, 탕, 탕, 탕! 한국연극의 새로운 문을 두드린다―<워킹 홀리데이>ㆍ<당신이 알지 못하나이다> 175

미투 이후 새로운 활력의 공연들, <운명> 메리에서 <주름이 많은 소녀> 공옥진까지
영혼의 자유를 위하여! ―<여배우의 혼> 185
둘, 더블의 세계 ―<열다섯>ㆍ<좋아하고 있어> 189
다섯 마리 여자 용들이 ‘썩소’를 날리는 유쾌한 카바레 극 ―<용비어천가> 202
모스크바 ‘화양연화’, 소련 해체 이후 남겨진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 ―<발렌타인 데이> 214
두 명의 여성 연출가, 보편성을 설득하는 감각 ―<벤트>ㆍ<중립국> 223
소녀들의 페미니즘, 소녀들의 사랑과 일―<줄리엣과 줄리엣>ㆍ<아홉 소녀들> 229
몸, 커밍아웃 혹은 번아웃 ―<이방연애>ㆍ<관통시팔> 235
감각적인 무대, 아쉬운 여성인물의 설득력 ―<라빠르트망> 241
운명론과 태도의 연극 ―<운명> 245
그 개와 그 곰과 그 소녀 ―<그 개>ㆍ<오렌지 북극곰> 252
류장현은 공옥진을 ‘주름이 많은 소녀’라고 부른다 ―<주름이 많은 소녀> 258

제3부 드라마투르그 노트
국내 창작극
로맨틱하고 감상적이고 희극적이고 비극적인 연극 ―<국물 있사옵니다> 267
<국물 있사옵니다>와 서울과 돈 276
달밤에 취했다, 아으 동동다리! ―<동동> 285
도깨비놀음, <깨비가 잃어버린 도깨비 방망이>가 공연으로 올라가기까지 293
낙하하는 경성 사람들과 소설가 구보씨의 새로운 창작방법론 ―<소설가 구보씨와 경성사람들> 299

외국 원작극
<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과 <위대한 놀이>, 거짓말과 놀이 사이 307
장 주네와 최치언과 김학수 ―<하녀 빠뺑자매> 316
가장 늦게 도착한 시라노의 편지 ―<록산느를 위한 발라드> 323
“지금이 밤이요, 낮이요?” ―<두드려라, 맥베스> 332

찾아보기 335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