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443.1
도서 슈퍼 스페이스 실록 : 너의 뇌에 별을 넣어줄게
  • ㆍ저자사항 곽재식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파랑새, 2024
  • ㆍ형태사항 441 p.: 천연색삽화; 21 cm
  • ㆍ총서사항 파랑새 영어덜트; 004
  • ㆍISBN 9788961554787
  • ㆍ주제어/키워드 우주 스페이스 청소년과학 청소년
  • ㆍ소장기관 강경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EM0000086311 [강경]종합자료실
443.1-곽853ㅅ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당신의 뇌에 별을 이식하는 괴물작가 곽재식! 별을 삼킨 민족의 K실록을 꺼내들다 과학 기술은 서양의 것이고 한국의 전통은 과학 기술과 반대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SF소설가이자 공학박사 곽재식 작가가 질문한다.‘그럴 리 없잖은가?’ 그는 조선왕조실록, 삼국유사, 고려사절요 등 수많은 문헌과 옛이야기, 전설, 신화를 모아 정리하고 이야기꾼 특유의 상상과 유머를 더해 다음의 답까지 제시한다. ‘속도와 방법이 다를 뿐 한국의 전통문화는 과학 기술과 밀접하며 우리는 원래부터 과학적인 민족이다.’ 곽재식 작가는 옛이야기보따리를 푸는 것에서 만족하지 않고, 가장 최신의 과학 기사와 우주 탐사 정보 및 한국이 천문학 기술 발전에 이바지하는 성공적인 사례 등을 다채롭게 녹여냈다. 당신의 뇌에 별을 이식해줄 괴물작가 곽재식! 완성도 높은 50개의 ‘우주 지식 실록’을 꺼내든다. “너의 뇌에 별을 넣어줄게.” 우주 스페이스 시대, 인간의 뇌는 이제 시공간을 초월하여 우주공간을 빨아들인다! 바쁜 현대인의 두뇌에 잠시 별이 지나간다면 어릴 적, 밤하늘 별을 보는 것만큼 이런저런 상상을 해보기 좋은 시간이 없었다. 워낙 SF 영화와 소설을 좋아하던 터라, 한참 별을 보고 있으면 저절로 온갖 이야기가 다 떠올랐다. 지금 눈에 보이는 반짝이는 별 근처에 외계인들의 우주 함대가 치열한 전쟁을 벌이고 있다고 상상하거나, 그 옆의 별에서 쳐들어온 우주 해적들을 외계의 공주가 물리치고 있는 장면이 까만 우주 공간 사이에 펼쳐진다는 생각을 하면 한참 동안 밤하늘을 올려다볼 수 있었다. 그러다 보니 나중에는 이런저런 우주에 대한 책이나 별에 관한 글도 재미있게 읽었다. 황소자리, 오리온자리, 사자자리 같은 별자리의 이름을 익히기도 했고, 시리우스, 베텔기우스, 스피카 같은 유명한 별의 이름을 기억하게 되기도 했다. 어마어마하게 넓은 우주의 크기와 긴 세월 거대한 사건을 일으키는 별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며 세상이 얼마나 큰 곳인지 생각에 잠겨보는 것도 멋진 경험이었다. 책을 읽고 이런 지식을 접하며 신기해하는 경험은 누구에게나 신선한 순간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우주에 대한 기초 지식을 소개해 주는 여러 책들을 읽다보니 아쉬운 점들도 있었다. 아무래도 현대 천문학에서 정리된 지식을 소개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보니 책에 실린 이야기들이 현대 천문학의 뿌리와 직접 맞닿아 있는 유럽 천문학과 유럽 전통에 연결된 내용으로 가득 찬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면, 사자자리라는 별자리는 그리스·로마 신화에 나오는 헤라클레스의 모험담을 소개하며 설명한다든가, 아리스토텔레스,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이 같은 유럽 학자들의 계보를 따라가며 우주에 대한 지식을 풀이하는 것이 책의 핵심이었다는 이야기이다. 이런 글들을 읽고 있으면, 아무래도 우주나 별, 나아가 과학에 대한 이야기는 유럽에서 시작되어 유럽에서 발전한 것이라는 생각을 갖게 된다. 실제로 나는 막연히 과학 기술은 유럽, 미국, 서양의 것이고 외국에서 들어온 것일 뿐이라는 느낌을 갖는 사람들을 많이 보았다. 심지어 과학 기술은 유럽에서 들어온 외국 문화이고, 한국의 전통은 과학 기술과는 반대된다는 식의 생각을 하는 사람도 몇 차례 본 적이 있다. 그런데 그럴 리 없지 않은가? 옛날이라고 해서 사람이 어떻게 기술 없이 살 수가 있겠는가? 발전의 속도가 다를 뿐이지 한국인들도 오랜 역사에 걸쳐 끊임없이 기술을 발전시켜 왔고, 과학적인 생각을 했다. 과학 기술이 한국의 전통문화와 반대되기는커녕, 한국 문화 속에도 언제나 과학 기술은 중요한 한 부분이었다. 어쩌다 보니 나는 지난 십여 년 간 한국의 괴물 이야기를 정리하고, 그에 관한 글을 쓰거나 책을 펴내는 일에 빠져 지냈다. 그 와중에 다채로운 한국의 전설과 옛이야기들을 많이 접할 수 있었다. 당연히 그중에는 별에 관한 전설도 있고, 옛 한국인들이 하늘 바깥세상과 우주에 대해 상상한 신화도 있었다. 세월이 흐르는 사이에 나는 이런 한국의 이야기들도 정리해서 모아보면 그리스·로마 신화의 별자리 이야기 못지않게 재미있을 거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막상 보면, 의외로 한국에서 옛날에 굉장히 유명했던 이야기를 지금의 한국인들이 그리스·로마 신화보다도 더 모르는 일도 많다. 그래서 오히려 한국 이야기가 더 신선한 느낌을 줄 때가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의 운명을 토성의 신령이 예언해 주었다는 전설이나, 조선 태조 이성계가 금성을 향해 기도하는 제단을 만들어서 매년 거기서 의식을 치렀다는 이야기는 여러 역사책에 실려있는 내용인데, 요즘은 이런 이야기를 아는 사람들조차 결코 많지 않다. 그래서 나는 이 책에서 이런 한국의 이야기들을 기초적인 우주에 대한과학 지식과 엮어서 정리해 보려고 했다. 내가 천문학이나 우주에 대한 대단한 전문가라고 할 수는 없으므로, 꼭 필요한 핵심 지식만 골라서 짚어서 알려준다거나 가장 심오한 지식을 전달한다기보다는 그저 상식으로 알아둘 만한 수준의 여러 이야기들을 두루두루 정리하는 수준을 첫 번째 목표로 삼았다. 그러면서 나는 그런 이야기들과 관련이 있는 한국의 전설, 신화, 옛이야기들을 같이 소개해 보려고 했다. 또한 가능하면 현대 한국의 과학자들이 별과 우주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이야기들도 같이 다루어보고자 했다. 나는 이런 이야기들을 통해 과학과 우주에 대한 연구가 멀리 있는 남의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한국 땅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의 일이라는 가까운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노력했다. 나는 과학기술의 우리의 문화이며, 한국인이 원래부터 하던 일이고 지금도 열심히 하고 있다는 생각을 더 깊게 모두 갖게 되는 것이 한국의 미래를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사실을 고백하자면, 이런 멋진 목표를 떠나서, 책을 읽는 동안 별과 우주에 대한 놀라운 이야기와 신비로운 전설을 즐기는 휴식을 독자들께 잠시 드릴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책을 쓴 보람은 충분하리라고 생각한다. 바쁜 현대인의 두뇌에 잠시 별이 지나가는 시간을 마련해 드릴 수 있다는 것은 무척 즐거운 일이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슈퍼 스페이스 실록 - 곽재식 지음, 김듀오 그림
과학 기술은 서양의 것이고 한국의 전통은 과학 기술과 반대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SF소설가이자 공학박사 곽재식 작가가 질문한다. 그는 조선왕조실록, 삼국유사, 고려사절요 등 수많은 문헌과 옛이야기, 전설, 신화를 모아 정리하고 이야기꾼 특유의 상상과 유머를 더해 다음의 답까지 제시한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35274034&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하늘과 땅, 해와 달
하늘의 형상 _네모난 땅, 둥근 지구 ¨18
행성, 항성, 혹성, 위성 _율곡 이이의 우주 모범 답안 ¨25
지구의 자전 _지구를 돌린 갈릴레이와 김석문 ¨32
별빛의 원리 _별을 먹은 신라의 왕비 ¨40
태양 _태양신의 마법 거울과 논산훈련소 ¨48
태양의 흑점과 오로라 _하늘의 붉은 괴물과 조선의 흑자 ¨57
태양의 일식 _연오랑·세오녀와 상대성이론 ¨65
달 _신라는 달의 왕국 ¨73
달 관찰하기 _백제 멸망을 예언한 달 ¨80

여덟 행성
수성 _조선인들과 천문학자들의 골칫거리 ¨92
수성의 모습 _윤선도의 들판 ¨99
금성 _태조 이성계의 수호신 ¨106
금성의 자전 _해가 서쪽에서 뜨겠네 ¨114
지구 _아파트 화단에서 보는 지구의 역사 ¨121
화성 _김유신 장군은 화성의 아들일까? ¨129
화성 탐사 _한국에 유학 왔다가 화성 탐사에 뛰어든 아랍인들 ¨137
목성 _임금님별이라는 별명 ¨144
목성의 위성 _외계인을 꿈꾸는 꽃게로봇 ¨152
토성 _태조 왕건의 별 ¨162
토성의 고리 _조선 시대 안경으로 하늘 보기 ¨168
천왕성 _예언자들의 천적 ¨178
해왕성 _복수의 별 ¨187

더 먼 곳
해왕성바깥천체 _해왕성 너머를 보는 세눈박이 기계 거인 ¨198
혜성 _장보고의 마력 ¨206
소행성의 작품 _합천 초계 지역의 논밭 ¨214
태양계 바깥 _우주 먼 곳을 향해 날아가는 신순희 선생의 목소리 ¨222

별과 별자리
별자리 _천상열차분야지도에는 얼마나 많은 별이 그려져 있을까? ¨234
주계열성 _팔만대장경과 다양한 별들의 운명 ¨243
북극성 _북악산의 별, 은평의 별, 광진의 별 ¨252
북두칠성 _국자의 크기 ¨259
카노푸스 _장수 비결은 제주도의 별 ¨268
봄의 별 _풍년을 예언하는 좀생이별, 플레이아데스성단 ¨276
여름의 별 _영험한 영성과 스피카 ¨283
가을의 별 _승리의 별 폭포, 사자자리 유성우 ¨290
겨울의 별 _소몰이꾼 삼형제별, 오리온의 벨트 ¨298
외계 행성 _한국 고등학생들이 이름 붙인 또 다른 세계 ¨307

블랙홀과 초신성, 이상한 별성
블랙홀 _사건의 지평선 너머로 ¨316
블랙홀의 구조와 특이점 _블랙홀을 뭐하러 연구할까? ¨324
블랙홀 관찰 _핵무기 찾기와 블랙홀 ¨333
초신성 폭발 _공포의 손길, 생명의 손길 ¨340
초신성 관찰 사례 _김종득의 초신성, 케플러의 초신성 ¨348
초신성과 첨단 기술 _초신성이 알려주는 행운을 잡는 기술 ¨356
블랙홀의 온도 _조선 시대 과거 시험과 스티븐 호킹 ¨363
퀘이사, 펄사, 중성자별, 암흑물질 _서울, 울산, 제주의 외계 전파 감지기 ¨370

우주와 세상의 끝
은하 _1,000억 개 별들 사이를 헤엄치는 용 ¨384
우주의 역사 _세상의 모든 것을 다섯 페이지로 요약하기 ¨391
우주의 시작 _서경덕의 도술과 빅뱅 ¨398
우주의 팽창 _조선 탐험가 퍼시벌 로웰과 우주 대폭발 ¨405
우주 배경 복사 _전자레인지 속에서 우주가 탄생했을까? ¨412
우주의 끝 _자꾸 걸어나가면 온 세상 외계인을 다 만나고 올 수 있을까 ? ¨421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