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670.1
도서 음악, 죽음을 노래하다
  • ㆍ저자사항 음악미학연구회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Pung Wol Dang: 풍월당, 2023
  • ㆍ형태사항 464 p.: 삽화; 20 cm
  • ㆍISBN 9791189346447
  • ㆍ주제어/키워드 음악 대중음악 서양음악 음악미학 음악철학
  • ㆍ소장기관 연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ED0000081145 [연무]특화도서
670.1-음957ㅇ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죽음은 가장 개인적이면서 가장 사회적인 사건이다” 음악은 죽음이라는 엄숙한 주제를 가장 잘 나타내는 예술이다. 음악은 추모와 위로로 죽음을 극복하게 해 주지만, 죽음 또한 예술적 영감이 된다. 예로부터 죽은 이를 떠나보내는 장례식에는 음악이 함께 했다. 죽은 이의 영혼이 영원한 안식을 누리기를 기원하는 미사 ‘레퀴엠Requiem’은 공적인 추모 음악이다. 통상미사 중 글로리아와 크레도가 빠지며, 층계송, 트락투스, 세쿠엔치아, 진노의 날Dies Irae이 포함되는 레퀴엠은 비단 장례식에서만 연주되지는 않고 독립된 음악작품으로 공연장에서 연주된다. 모차르트, 베를리오즈, 베르디, 포레의 〈레퀴엠〉이 그러하다. 음악에서 죽음은 슬픔이나 두려움의 대상만이 아니다. 비참한 현실에서 벗어난 이상적인 유토피아의 세계를 예술로 구현하고자 했던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는 죽음에 대한 동경이 강하게 나타났고, 이는 음악을 통해 가장 설득력 있게 형상화되었다. 감정의 표출을 통해 음악은 ‘무한성’의 문을 열어 주고 ‘초월성’을 예감하게 하며, 이런 이유로 현실의 고루함이나 죽음에 대한 공포를 감추거나 거기서 벗어날 수 있는 예술로 상정되었기 때문이다. 음악은 인간의 가장 깊고 비밀스러운 감정과 무한의 세계를 보여 주는 가장 낭만적인 예술이며, ‘밤’이나 ‘꿈’ 그리고 바로 ‘죽음’을 가장 잘 그릴 수 있는 예술이 되었다. 오희숙, 프롤로그: “음악과 죽음” 중에서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음악, 죽음을 노래하다 - (사)음악미학연구회 지음
서울대학교 음악학과 오희숙 교수와 음악미학연구회의 회원들은 음악이 ‘노래한’ 죽음의 여러 모습을 다양한 에세이로 포착해 한 권의 책에 담았다. 그 사투와 창조의 과정은 삶과 죽음, 예술과 일상을 바라보는 우리에게 더 깊은 혜안을 줄 것이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27291934&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오희숙 - 프롤로그: 음악과 죽음

1부 작곡가들의 마지막 순간
이성률 - 모차르트: 〈레퀴엠〉과 남겨진 자들의 눈물 31
최은규 - 베토벤: 죽음조차 영웅적으로 승화시킨 음악가 48
정이은 - 슈베르트: 죽음 앞에 선 예술가의 선택 71
김호정 - 슈만: 끊어진 세계에서 숨을 거두다 86
박성우 - 브람스: “삶이 죽음보다 더 많은 것을 앗아 간다” 111
최은규 - 말러: 죽음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찾다 124
전정임 - 윤이상: 죽음에 대한 초연함과 항거 148

2부 음악이 그린 죽음
정다운 - 쇼팽의 피아노 소나타 「장송행진곡」: 죽음, 유머를 옷 입다 173
지형주 - 슈베르트의 〈죽음과 소녀〉: 죽음의 유토피아적 서사 186
이정환 - 슈만의 〈레나우 시에 의한 여섯 편의 노래 그리고 레퀴엠〉: 시인과 작곡가의 아르스 모리엔디 202
김소이 - 리스트의 〈단테 교향곡〉: 구원을 향한 여정 224
우혜언 - 코른골트의 오페라 〈죽음의 도시〉: 망각, 죽음의 또 다른 이름 247
김미영 - 알반 베르크의 〈보체크〉: 비극적 죽음의 사회적 책임을 묻는 오페라 259
김서림 - 라이히의 〈다른 기차들〉: 아우슈비츠를 위한 음악. 추억과 추모 사이에서 272
신인선 - 리게티의 〈위대한 죽음〉: ‘보이는—들리는’ 죽음 288
오희숙 - 쿠르탁의 현악 사중주 〈짧은 성무일과‒세르반스키를 추모하며〉: 추모와 자기 성찰 308
노재헌 - 그리제의 〈문턱을 건너기 위한 네 개의 노래〉: 죽음의 경계를 넘어 325

3부 죽음에 대한 심층 연구
킵 페글리, 김예림 역 - 대중의 애도, 국가와 새뮤얼 바버의 〈현을 위한 아다지오〉 351
오드리 버거 카대니, 정은지 역 - 음악은 어떻게 죽음의 공포를 완화하는가 384

장유라 – 에필로그: 브리튼과 토마스 만. 베니스 죽음의 현장을 찾아서 418

주 431
참고문헌 453
도판 목록 462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