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811.7
도서 가장 희미해진 사람
  • ㆍ저자사항 김미소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걷는사람, 2022
  • ㆍ형태사항 104 p.: 삽화; 20 cm
  • ㆍ총서사항 걷는사람 시인선; 74
  • ㆍISBN 9791192333366
  • ㆍ주제어/키워드 한국문학 한국시 현대시 시집
  • ㆍ소장기관 논산열린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NG0000003231 [열린]종합자료실
811.7-김479ㄱ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걷는사람 시인선 74 김미소 『가장 희미해진 사람』 출간 “죽고 싶다고 말하면, 더 살고 싶어져 온갖 아픈 장면을 흔들어 깨웠다” 불가해한 삶 속에서 겪은 죽음보다 더 죽음 같은 체험들 1인 극장으로 상영되는 처참하고 아름다운 고백록 2019년 《시인수첩》 신인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김미소 시인의 첫 시집 『가장 희미해진 사람』이 걷는사람 시인선 74번째 작품으로 출간되었다. 데뷔 당시 시인은 “공격적이면서도 서정적이고, 실험적이면서도 전통적이며, 거침없지만 진중하고, 차갑지만 따뜻하다”는 다층적인 평을 받았다. 이번 시집에는 “결코 부정할 수 없는 시의 본령인 뜨거운 서정”(《시인수첩》 심사평)으로 충만한 54편의 시가 실렸다. 김미소의 첫 시집은 처참한 고백록이다. 그는 “괴물이라 불리던 어린 시절”의 모습과 “시각장애를 앓게 된 열네 살의” 모습, 그리하여 “다름을 인정하는 일”과 “오래도록 아프고 외로웠”던 일들을 고백한다. 과거를 상기하는 것만으로도 고통과 상처를 반복해야 했으므로 시인은 “처음엔 나의 이야기를 하지 않으려 했다”(시인의 말)고 밝힌다. 하지만 ‘하지 않으려’ 했던 말들이 결국은 ‘해야만’ 하는 이야기임을 받아들인 시인은 한 글자 한 글자를 바늘로 꿰매듯 기록하였고, 성장기의 상흔을 정면으로 마주하는 그의 모습은 처연하지만 단단하다. 과거의 불행을 시로써 치환하여 미래로 나아가고자 하는 삶의 의지와 용기가 고스란히 전해진다. 시집의 첫 시에는 시인의 해체된 가족사가 드러난다. “동생들이 잠든 밤”에 “아버지와 어머니는” “더는 함께 살 수 없다고” 통보하지만, 시인은 “스님이었던 아버지는 산속에 살고” 이미 가족은 “함께 사는 게 아닌데” 도무지 “함께 살 수 없다는 게 뭔지 몰랐다”(「가족」)고 말한다. 예기치 못한 가족의 해체는 시인을 불가해한 삶 속으로 끌어들이고, 그렇게 불행의 연장선에 놓이게 된다. 그가 감지할 수 있는 세계는 “이미 한쪽 눈을 잃었으니”(「혼자만의 길」) “밤이 허물어지는 신호”(「손가락은 거미를 흉내 낸다」)를 듣고 온몸으로 맞이해야 하는 균열된 세계뿐이다. “현실에선 지독히 난시일 수밖에”(같은 시) 없는 그에게 타자라는 존재는 모두가 “가장 희미해진 사람”이 되어 버린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 또한 “가장 희미해진 사람”이 되어 버린다. “기적은 좀처럼 오지 않”(「열네 살」)고, 시인은 선명한 세계를 향해 “매듭이 풀릴 때까지/슬픔을 놓아주지 말”(「못난 얼굴을」)자고 다짐할 뿐이다. 현실을 지배하는 불행한 체험들로 인해 그는 불가항력적으로 “몸의 감각을 신뢰”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시인이 시사하고 있는 죽음이란 “생물학적 죽음이 아니라 기존의 익숙한 느낌과 감각의 소멸”이다. 그러한 인식으로 인해 어두운 관 속 같은 상황에서도 “그래 이건 포옹이었지”(「체험」)라고 마침내 독백한다. 공포는 우리를 억누르지만 공포영화 속 이야기는 우리를 희열하게 만드는 그 자명한 이치처럼, 김미소는 기꺼이 죽음을 체험하는 자가 됨으로써 “포옹과 속삭임, 다른 빛에 관한 이야기”(해설, 김주원)를 엮는 연금술사가 된 것이다. 그리하여 처참한 삶의 기록들이 강렬한 파토스를 일으키면서 빛을 뿜어낸다. 추천사를 쓴 곽재구 시인은 “그의 시가 고통의 나열만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이 시 읽기는 끝내 불편함을 벗어나지 못했을 것”이라고 진단하며, 결국 시인이 지니고 있는 진정한 가치는 “그가 지닌 언어의 품격과 자유연상의 고상함”이라고 진술한다. 김미소의 힘은 “쉽지만 결코 쉽게 다가갈 수 없는 언어들의 춤”을 선보인다는 데 있다. 희미해짐으로써 가장 돌올한 존재로 다시 태어난 시인은 “절망의 한끝에서 만나는 인간의 사랑”(추천사, 곽재구)를 우리에게 선사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