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911.0723
도서 한국전쟁의 기원 : 폭포의 굉음 1947~1950. 2-2
  • ㆍ저자사항 브루스 커밍스 지음 ;
  • ㆍ발행사항 파주 : 글항아리, 2023
  • ㆍ형태사항 655 p. ; 23 cm
  • ㆍ일반노트 색인수록 원저자명: Bruce Cumings
  • ㆍISBN 9791169091084
  • ㆍ소장기관 논산열린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NE0000077558 v.2-2 [열린]종합자료실
911.0723-커292ㅎ-2-2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의 기원』1·2 초판 발행 43년 만에 완역! 한국전쟁을 다뤘지만, 사실 전쟁을 넘어 한 시대와 역사에 대한 증언이 된 현대의 명저! 국내외를 통틀어 한국전쟁에 관하여 이 연구를 넘어선 책은 단연코 없다! “상당히 자랑스럽게도 『한국전쟁의 기원』 두 책은 세 가지 상을 받았다. 1권은 미국 역사학회에서 19세기 이후 시대를 다룬 가장 우수한 저서에 수여하는 존 킹 페어뱅크John King Fairbank 저작상을 받았다. 2권은 국제연구협회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의 퀸시 라이트Quincy Wright 저작상을 받았다. 그리고 1984년 전두환 독재정권은 1권을 금지도서 목록에 올렸는데, 두 권뿐인 외국인 저서 가운데 하나였다.” _ 브루스 커밍스, 한국어판 서문에서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한국전쟁의 기원 2-2 - 브루스 커밍스 지음, 김범 옮김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의 기원』이 드디어 한국어로 완역 출간되었다. 미국에서 1권이 출간된 1981년으로부터는 43년 만이고, 2권이 나온 1990년으로부터는 34년 만에야 이뤄진 일이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15410224&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3부 1950년 6월의 서곡

12장 적절한 간격: 미군 철수, 38도선 일대의 전투, 유격대 진압
봉쇄선 위의 한국 | 제한전과 전면전 | 1949년 38도선 일대의 전투 | 유격대 문제의 최종적 해결 | 결론
13장 “연설”: 프레스 클럽에서 제시한 애치슨 방식의 억제
예측하기 어려운 사태를 포착하고 이해하는 능력 | 애치슨의 극동 구상 | 타이완을 둘러싼 책략 | 프레스 클럽을 향해 | 평양의 문맹文盲 | 방어에 대한 애치슨의 생각 | 애치슨은 공격이 일어날 것을 고려했는가? | 프레스 클럽 이후의 연설: 총력외교와 인도차이나에 대한 관여
14장 전쟁 직전의 북한
1950년 북한에 대한 소련의 영향 | 북한에 대한 소련의 군사 지원 | 북한 군사 행동의 징후 | 북한의 동기
15장 전쟁 직전의 남한
“일본 바로 옆”: 한국의 경제적 존재 이유 | 한국과 미국의 군사 관계 | “혼수상태의 위원회” | 5월 30일 총선거 | 혼란—나라를 구하려는 이승만의 노력 | 깊어지는 남한과 중국의 관계 | 홈부르크 모자를 쓰고 참호에 선 덜레스
16장 타이완의 암시
“주타이완 미국 군사고문단”의 문제 | 도너번의 특별 임무 | 굿펠로의 특수 임무: 청천백일기 대신 태극기를 게양하다 | 셔놀트의 특별 임무 | 쿡의 특수 임무 | 침공 | 쿠데타: 총통의 축출을 시도하다 | 결론
17장 6월의 어느 고요한 주말: 전쟁 직전의 도쿄, 모스크바, 워싱턴
의외의 삼각관계: 덜레스, 존슨, 맥아더 | 근접성의 위험 | 전쟁 직전 소련의 정책 | 데레뱐코 사건 | 전쟁 직전의 워싱턴
18장 누가 한국전쟁을 일으켰는가? — 세 개의 모자이크
옹진의 충돌 사건: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나는 전혀 몰랐다” | 개성에서 일어난 폭발 | 동부로 확대된 전투 | 남한과 북한의 일요일 | “북한이 침공했다는 증거 문서” | 그 밖의 증거 문서 | 두 번째 모자이크 | 정보 오류: “기묘하게 조합된 모자이크” | 선호하는 모자이크 | 결론: 결의의 본래 색깔

4부 종막

19장 봉쇄를 위한 전쟁
유엔의 행동 | 전쟁에 대한 미국의 반응 | “소련의 정말 엄청난 실수”: 전쟁에 대한 모스크바의 반응 | 중국의 반응 | 부산에 대한 맹공 | 인천 상륙: 거점의 확보
20장 한국전쟁의 정치적 특징: 인민위원회와 흰 파자마
서울 점령 | 인민위원회의 재건 | 토지개혁 | 지방 정치 | 남부의 유격
전 | “흰 파자마”: 인민 전쟁과 인종차별의 문제 | 잔혹 행위의 문제 |
북한의 잔혹 행위 | 미국의 잔혹 행위
21장 반격을 위한 전쟁
커지는 소용돌이 | 남한의 북한 점령 | 크게 입을 벌린 함정: “우리는 메추라기 떼를 쫓아버렸다” | “중국군이 넘쳐난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참전 | 호혜주의의 원칙 | 충격에 빠진 워싱턴 | 새로운 무기
22장 결론: 석양
패권의 구축과 재편: 한국인의 전쟁이 아니었다 | 얽힌 실과 풀린 실 | 역사와 기억 | 서쪽을 향해: 팽창주의의 종언 | 중심지의 교체

주 / 참고문헌 / 옮긴이의 글 / 찾아보기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