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더보기
KDC : 375.465
도서 한 권으로 끝내는 미술 수업 가이드북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NE0000076975 [열린]종합자료실
375.465-김728ㅎ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입시와는 동떨어져 있는 미술 교과는 얻을 것이 하나도 없는 시간 낭비이자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는 과목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이런 교육 현실에서 미술 교육의 위치는 어디쯤일까요? 이런 현실 속에서도 미술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에 이 책에서는 그 답을 세 가지 방향에서 찾고 수업 디자인에 반영하였습니다.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미술 수업 설계입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가치는 생태전환교육/ 민주시민 교육/ 일과 노동 교육/ 디지털 AI 역량 강화 교육입니다. 이러한 가치를 반영할 수 있는 미술 수업을 통해 교육과정안에서 미술 교육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둘째, 동시대 미술의 반영입니다. 미술은 시대와 문화를 담는 그릇입니다. 미술의 정의 또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대에 따라 달라져 왔습니다. 과거의 미술 문화 유산도 중요하지만 동시대 문화를 알아야만 미래 사회에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셋째, 인지 중심의 메타인지와 관련된 미술 수업입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고 있는 교육 이론은 개념 중심 교육과정에 가깝습니다. 이것은 미술 교육의 흐름 중 DBAE의 핵심과 상통하는 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DBAE는 창의성 중심의 표현주의 미술의 대안으로 나온 미술 교육 이론으로 미술 교과 또한 학문의 구조를 가지고 미적 사고의 과정을 인지의 작용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미술 문화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론입니다. 미술 작품을 만드는 과정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작품을 발상, 계획하고 제작하는 이 모든 과정은 메타인지의 전략과 비슷합니다. 예술가들이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미술 교과는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역량 중심 수업이 가능한 교과입니다. 현재 유행하고 있는 많은 학습 기법들인 비주얼 싱킹, 마인드맵 등도 기승전결 미술이란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단순히 실기 위주의 수업이 아니라 미술 수업 과정 자체가 메타인지를 길러줄 수 있도록 미술 수업 과정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