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495.9
도서 한반도의 나비: 한반도의 나비 279종의 분류와 생태, 영문 해설 수록
  • ㆍ저자사항 주흥재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지오북, 2021
  • ㆍ형태사항 480 p.: 천연색삽화; 28 cm
  • ㆍISBN 9788994242804
  • ㆍ주제어/키워드 과학 도감 곤충 나비 한반도나비 참고
  • ㆍ소장기관 논산열린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NE0000072055 [열린]종합자료실(참고
참고495.9-주293ㅎ
예약불가 - 예약불가 신청불가

상세정보

<우리 나비 연구의 역사를 밝히고, 최다의 표본을 담은 최고의 나비도감 나비에 일생 몰두한 한국나비학회의 주역 6인이 이룬 대역작!! 나풀나풀 이 꽃 저 꽃을 찾아 날아다니는 나비의 아름다움에 취해 최고 60년, 대부분 40년 넘게 나비를 수집하여 우리 나비의 토대를 쌓은 나비 전문가 6인이 『한반도의 나비』를 출간했다. 최근 우리 나비는 서식지의 감소, 기후변화, 인간 간섭 등 돌이키기 어려운 생태계의 시련을 겪고 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상제나비는 이제 남한에서 볼 수 없게 되었고, 큰수리팔랑나비는 멸종 단계에 들어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에서 관찰종이 되고 말았다. 그런데 뾰족부전나비와 남색물결부전나비 등은 동남아에서 한반도로 영역을 넓히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우리 나비는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는 현실이다. 나비는 벌, 파리와 더불어 식물의 꽃가루받이 역할을 하고 다른 곤충과 새의 주요 먹이가 된다. 이처럼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구성원이자 문화의 상징이 되어온 나비가 이제 귀해지자 복원을 서두르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현실에 맞서 나비연구의 새로운 초석을 마련하고자 평생 나비를 탐구해온 저자들의 열정을 온전히 담아냈다. 279종 3,759컷의 나비 표본사진과 최고 1종 54컷의 표본사진을 수록 최근 나비보다 나방 연구가 더 활발해지고 있다. 나비가 다른 곤충보다 분류나 생태 연구가 더 일찍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들은 그동안 소홀히 해온 전 나비의 한살이와 생태, 분포, 환경 변화뿐 아니라 진화와 다양한 개체변이에 대해 관심을 두고 탐구해왔다. 이 책에서 눈여겨 볼 점은 다른 도감들과 달리 표본 사진을 1종당 많게는 54컷(은점표범나비), 평균 13컷까지 수록한 점이다. 우리의 나비가 다양하다는 점과 환경과 서식지에 따라 개체변이가 심하기 때문에 이를 최대한 반영한 것이다. 이런 노력은 오랜 기간이 필요할 뿐 아니라 일일이 확인하는 수고로움이 필요하다. 즉 나비를 제대로 식별하려면 가능한 한 많은 표본을 비교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이런 값진 노력을 담아내 우리 나비의 다양성을 보여줄 수 있게 되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한반도의 나비 - 주흥재 외 지음
최근 우리 나비는 서식지의 감소, 기후변화, 인간 간섭 등 돌이키기 어려운 생태계의 시련을 겪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현실에 맞서 나비연구의 새로운 초석을 마련하고자 평생 나비를 탐구해온 저자들의 열정을 온전히 담아냈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72645801&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머리말 4
Preface 6
일러두기 12
Notes on the ‘English explanation’ of each species 16
한국 나비의 정의 18
이 책을 보는 방법 19
한국의 나비를 연구한 학자들 20
나비의 주요 서식지 22
나비의 기관 24
용어 설명 26
세계의 동물지리구 30
일제강점기의 나비 문헌에 나오는 우리나라 지명 32

한반도의 나비_표본 34
호랑나비상과 Papilionoidea
팔랑나비과 Hesperiidae
수리팔랑나비아과 36
흰점팔랑나비아과 37
돈무늬팔랑나비아과 41
팔랑나비아과 44

호랑나비과 Papilionidae
모시나비아과 53
호랑나비아과 59

흰나비과 Pieridae
잠자리흰나비아과 75
흰나비아과 77
노랑나비아과 85

부전나비과 Lycaenidae
뾰족부전나비아과 93
바둑돌부전나비아과 93
쌍꼬리부전나비아과 93
부전나비아과 94
주홍부전나비아과 110
녹색부전나비아과 112

네발나비과 Nymphalidae
뿔나비아과 130
왕나비아과 130
독나비아과 133
줄나비아과 150
오색나비아과 167
돌담무늬나비아과 185
먹그림나비아과 185
신선나비아과 186
뱀눈나비아과 202

닮은 종의 비교
흰점팔랑나비와 꼬마흰점팔랑나비의 비교 230
수풀알락팔랑나비와 북방알락팔랑나비의 비교 231
줄꼬마팔랑나비와 수풀꼬마팔랑나비의 비교 231
산수풀떠들썩팔랑나비와 수풀떠들썩팔랑나비의 비교 232
산수풀떠들썩팔랑나비와 꽃팔랑나비의 비교 232
큰줄점팔랑나비와 Polytremis pellucida의 비교 233
산줄점팔랑나비, 제주꼬마팔랑나비, 흰줄점팔랑나비의 비교 233
붉은점모시나비와 왕붉은점모시나비의 비교 234
긴꼬리제비나비와 남방제비나비의 비교 234
제비나비와 산제비나비의 비교 235
기생나비와 북방기생나비의 비교 235
상제나비와 눈나비의 비교 236
줄흰나비와 큰줄흰나비의 비교 236
배추흰나비와 대만흰나비의 비교 238
멧노랑나비와 각시멧노랑나비의 비교 238
높은산노랑나비와 노랑나비의 비교 239
남방부전나비와 극남부전나비의 비교 240
큰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와 작은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의 비교 240
큰점박이푸른부전나비와 중점박이푸른부전나비의 비교 241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와 북방점박이푸른부전나비의 비교 241
잔점박이푸른부전나비의 지역 아종 비교 242
산꼬마부전나비, 부전나비, 산부전나비의 비교 243
작은녹색부전나비, 암붉은점녹색부전나비, 북방녹색부전나비의 비교 244
큰녹색부전나비와 깊은산녹색부전나비의 비교 245
녹색부전나비류의 비교 246
쇳빛부전나비와 북방쇳빛부전나비의 비교 248
산은점선표범나비와 작은은점선표범나비의 비교 248
큰표범나비와 작은표범나비의 비교 249
긴은점표범나비, 은점표범나비, 황은점표범나비의 비교 249
제일줄나비, 제이줄나비, 제삼줄나비의 비교 251
참줄나비와 참줄사촌나비의 비교 252
세줄나비와 참세줄나비의 비교 252
별박이세줄나비와 개마별박이세줄나비의 비교 253
황세줄나비, 북방황세줄나비, 산황세줄나비의 비교 254
오색나비와 황오색나비의 비교 255
황오색나비, 오색나비, 번개오색나비의 수컷 생식기 비교 255
은점어리표범나비와 담색어리표범나비의 비교 256
봄어리표범나비와 여름어리표범나비의 비교 257
북방거꾸로여덟팔나비와 거꾸로여덟팔나비의 비교 258
애물결나비, 물결나비, 석물결나비의 비교 258
노랑지옥나비, 외눈이지옥사촌나비, 분홍지옥나비, 외눈이지옥나비의 비교 259
함경산뱀눈나비와 참산뱀눈나비의 비교 259
흰뱀눈나비와 조흰뱀눈나비의 비교 260
알락그늘나비와 황알락그늘나비의 비교 261
부처나비와 부처사촌나비의 비교 261

한반도의 나비_해설
호랑나비상과Papilionoidea
팔랑나비과 Hesperiidae
수리팔랑나비아과 264
흰점팔랑나비아과 266
돈무늬팔랑나비아과 273
팔랑나비아과 277

호랑나비과 Papilionidae
모시나비아과 290
호랑나비아과 294

흰나비과 Pieridae
잠자리흰나비아과 304
흰나비아과 305

부전나비과 Lycaenidae
뾰족부전나비아과 322
바둑돌부전나비아과 323
쌍꼬리부전나비아과 324
부전나비아과 325
주홍부전나비아과 346
녹색부전나비아과 348

네발나비과 Nymphalidae
뿔나비아과 376
왕나비아과 377
독나비아과 378
줄나비아과 393
오색나비아과 407
돌담무늬나비아과 415
먹그림나비아과 416
신선나비아과 417
뱀눈나비아과 433

참고문헌 458
국명 찾아보기 474
학명 찾아보기 476
저자 소개 479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