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082
도서 (세계를 담은)한글: 유행어 사용이 한글을 해치는 일일까?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NE0000071941 v.9 c.2 [열린]어린이자료실
아동082-초579ㅁ-9=2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헬로우, 인다우미안노찌아찌아!“ 이게 무슨 말이게요? 분명히 글자는 한글인데 뜻을 도통 모르겠다고요? 이 뜻을 알려면 한글 속에 담긴 비밀을 알아내야 한답니다. 이 책 속에는 훈민정음(한글)의 창제 과정부터 원리, 특징, 발전 가능성 등 한글에 관한 모든 이야기가 담겨 있어요. 〈1장〉 찌아찌아족 소녀에게서 온 편지 인도네시아 부퉁 섬에 살고 있는 찌아찌아 족 사람들은 목소리로 낼 수 있는 말은 있지만 이를 표기할 마땅한 문자가 없어 로마자 알파벳으로 발음을 표현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찌아찌아 말에 딱 맞는 문자가 선정되었대요. 그 문자는 다름 아닌 바로 한글! 왜 한글이 다른 나라 문자로 수출이 되었을까요? 세계로 뻗어 나가는 한글을 만나 봐요! 〈2장〉 600년 전 조선에서 온 편지 훈민정음(한글)을 창제하는 일은 절대 쉽지 않았어요. 다양한 나라의 언어 연구를 바탕으로 전국의 말소리를 분석하고 발성 기관도 살펴봐야 했거든요. 게다가 명나라의 눈치를 살피는 수많은 신하의 반대에 부딪혀야 했지요. 세종 대왕이 어떤 이유로 훈민정음(한글)을 창제하였고 어떤 원리로 만들어 반포했는지 조선 시대로 날아가 봐요. 〈3장〉 100여 년 전 대한 제국에서 온 편지 세종 대왕이 백성을 위해 만든 한글은 조선의 26번째 왕 고종에 이르러야 우리나라 글자(국문)으로 인정을 받아요. 하지만 기쁨도 잠시 일본 제국주의에게 주권을 빼앗기고 한글은 다시 한 번 사라질 위기에 처하지요. 하지만 주시경 선생을 비롯한 조선어학회 회원들은 일제 강점기 때에도 우리말을 연구하고 정리해 끝까지 한글을 지켜냈어요. 〈4장〉 폴란드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온 편지 외국에서는 한류 열풍이 한창이에요. 이에 따라 한글을 배우려는 외국인도 늘고 있지요. 세계 곳곳에서 우리나라의 대중 가요가 흘러나오고 우리나라의 드라마나 영화도 불티나게 수출된답니다. 전 세계인을 사로잡은 한글의 매력에 퐁당 빠져 봐요! 〈5장〉 가까운 미래, 파리에서 온 편지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기록물들이 아직 외국에서 보관되고 있는 경우가 많아요. 400~500년 전 조상이 쓴 고서가 다시 조국의 품으로 돌아오는 모습을 상상해 봐요. 소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을 대하는 우리들의 자세는 어떠해야 할까요?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