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235.82
도서 바이러스에 걸린 교회
  • ㆍ저자사항 엮은이: 권지성,
  • ㆍ발행사항 서울 : 삼인, 2021
  • ㆍ형태사항 314 p. ; 21 cm
  • ㆍISBN 9788964362051
  • ㆍ소장기관 논산열린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NG0000002722 [열린]종합자료실
235.82-권693ㅂ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재난이 된 한국교회를 진단하다 교회는 어쩌다 혐오의 대상이 되었나 지금까지의 교회는 혐오의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주체로서 비판을 받아온 게 사실이다. 사회적 취약계층 즉, 경제적 빈곤자, 사회주의자, 성소수자, 여성, 이슬람, 장애인 등에 대해 혐오와 차별을 조장하고 지속적으로 그들을 소외, 배제해왔다. 기획 시리즈 중 하나인 『혐오와 한국 교회』(삼인, 2020)는 소수자들에 대한 혐오의 생산기지이자 첨병 역할을 하는 한국 개신교 교회를 집중 조명하고 있다. 『바이러스에 걸린 교회』에서도 교회에 의한 혐오의 문제는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주요한 주제 중 하나이다. 그런데 믿지 못할 일이 현재,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다. 혐오의 주체였던 교회가 코로나19 팬데믹 시대를 맞아 외려 혐오의 대상으로 전락한 것. 2020년 1월 20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한국은 현재까지 총 네 번의 코로나19 대유행 시기를 맞았다. 그중 두 번이 교회로 인해 촉발된 것이었고, 대면 예배 자제라는 방역지침만 따랐어도 큰 사회적 희생을 치르지 않았으리라는 점에서 국민들의 공분을 샀다. 2020년 9월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국민의 74%가 코로나19에 대해 교회가 잘못 대응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8.15 집회 이전인 7월의 조사에서는 개신교 신자에 대해서도 ‘거리를 두고 싶은’(32.2%), ‘이중적인’(30.3%), ‘사기꾼 같은’(29.1%)의 부정적 이미지가 주를 이뤘다. 어쩌다 이렇게 되었을까. 코로나19로 인해 없던 문제가 새로 생긴 것이 아니다. 개신교회 내부에 깊이 뿌리내린 병증들이 팬데믹을 통해 드러났을 뿐이라는 게 『바이러스에 걸린 교회』의 중론이다. 총 12명의 연구자들이 참여한 이 책에서는 언택트가 뉴 노멀이 된 사회에서도 개신교회가 왜 대면 예배를 포기할 수 없는지 그 역사적, 신학적, 사회경제적 배경을 살펴보고, 팬데믹 시대에 더욱 적나라하게 드러난 한국교회의 한계와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을 거쳐,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교회의 역할 및 이미 시작된 교회의 변화, 즉 온라인 교회의 등장, 가정 교회의 가능성을 조명함과 함께 향후 한국교회가 지향해야 할 새로운 공동체로서의 모습과 방향, 대안 등을 제시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