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029.8
도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집필한)독서 교육론
  • ㆍ저자사항 천경록,
  • ㆍ발행사항 서울: 역락, 2022
  • ㆍ형태사항 504 p.: 삽화; 25 cm
  • ㆍ총서사항 역락 국어교육학 총서; 8
  • ㆍISBN 9791167422682
  • ㆍ주제어/키워드 독서지도 교사교육 독서교육 교재
  • ㆍ소장기관 논산열린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NE0000068837 [열린]종합자료실
029.8-천394ㄷ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이 책은 사범대학과 교육대학과 같은 교사양성 기관에서 예비교사들에게 독서교육론 강좌의 교재로 사용하기 위해 집필하였다. 책은 크게 독서론, 독서교육론, 독서 교사교육론으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1부 독서론에서는 독서의 개념, 독서의 변인(독자, 텍스트, 맥락), 독서의 발달을 다루었다. 2부 독서교육론에서는 독서교육의 이론, 내용(교육과정), 교재, 교수·학습원리, 지도 방법, 평가 방법,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학습독서와 교과독서 등을 다루었다. 3부 독서 교사교육론에서는 독서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교육 방향을 다루었다. 이러한 주제는 독서교육에 입문하는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주제라고 생각하여 선정하였다. 집필 관점은 현재까지 학계에서 탐구된 내용을 균형 있게 설명하여, 책의 독자들이 쉽게 독서교육에 입문할 수 있기를 의도하였다. 아울러 최근에 진행된 연구 결과를 반영하였기 때문에 중등 국어교사, 초등교사, 사회교육기관 교사, 교육정책 수립자의 재교육과 전문성 발달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독서 교육론 - 천경록.김혜정.류보라 지음
사범대학과 교육대학과 같은 교사양성 기관에서 예비교사들에게 독서교육론 강좌의 교재로 사용하기 위해 집필하였다. 독서교육에 입문하는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주제를 선정하였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87367718&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제1부 독서론
제1장 독서의 개념과 특성 ∙ 15
1. 독서의 개념 15
가. 독서와 의미 구성 15
나. 독서 개념의 역사적 발전 17
다. ‘독서’와 ‘읽기’의 관계 22
2. 독서의 과정 모형 25
가. 상향적 과정 모형 26
나. 하향적 과정 모형 29
다. 상호작용적 과정 모형 31
라. 교섭 과정 모형 33
3. 독서의 목적과 유형 36
가. 독서의 목적과 자세 36
나. 독서의 유형과 종류 38
제2장 독서의 변인 ∙ 45
1. 텍스트 45
가. 텍스트의 개념 45
나. 텍스트의 특성 47
다. 텍스트의 유형 51
라. 텍스트의 구조 54
마. 텍스트의 양식 58
2. 독자 60
가. 독자의 유형 60
나. 독자와 스키마 62
다. 독자의 인지적 특성 69
라. 독자의 정의적 특성 76
3. 맥락 82
가. 맥락의 개념 82
나. 맥락의 유형 84
다. 맥락의 교육적 적용 88
제3장 독서 능력의 발달 ∙ 99
1. 독서 능력 발달의 이해 99
가. 독서 능력 발달의 특징 99
나. 독서 능력 발달 관련 개념 100
다. 독서 능력 발달 단계 106
2. 독자의 발달 117
가. 독자의 유형 117
나. 생애 주기에 따른 독자 발달 119

제2부 독서교육론
제4장 독서교육 이론의 이해 ∙ 129
1. 독서 연구의 역사 129
가. 읽기 연구의 토대:인지심리학의 등장과 학회의 성립 132
나. 읽기 연구의 흐름:방법론, 주제 그리고 인식론의 변화 136
2. 독서교육 이론의 변천 145
가. 행동주의 읽기 교육 이론 148
나. 인지주의 읽기 교육 이론 154
다. 사회구성주의 읽기 교육 이론 162
제5장 독서교육의 내용과 교육과정 ∙ 171
1. 독서교육의 내용 171
가. 독서, 글/맥락, 소통/문화 등에 관한 지식:개념적 지식 173
나. 독서 기능과 전략, 그리고 초인지:절차적 지식 177
다. 독서의 정의적 요인:태도적 지식 183
라. 독서교육 내용의 새로운 동향 185
2. 독서 교육과정 구성의 원리 188
가. 내용 선정의 원리 188
나. 내용 조직의 원리 189
다. 내용 표현의 원리 191
라. 제재 텍스트의 선정과 배열 원리 192
마. 역방향 설계와 2015 개정 교육과정 194
3. 2015 읽기/독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와 성취기준 195
가. <국어> 과목 읽기 영역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196
나. 고등학교 <독서> 과목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200
다. 고등학교 <고전 읽기> 과목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203
라. ‘한 학기 한 권 읽기’와 독서교육의 내용 204
제6장 독서 제재와 독서 교재 ∙ 209
1. 독서교육을 위한 제재 209
가. 독서 제재의 특징 209
나. 독서 제재의 선정 216
2. 독서 교재의 개발과 활용 222
가. 독서 교재의 특징 223
나. 독서 교재의 개발 231
다. 독서 교재의 활용 234
제7장 독서 교수·학습의 원리와 모형 ∙ 239
1. 독서 교수·학습의 원리 239
가. 독서 교수·학습의 기본 원리 239
나. 독서 교수·학습의 접근법 245
2. 독서 교수·학습 모형 249
가. 독해 기능과 전략의 지도 모형 251
나. 독서 수업의 실행 260
제8장 독서 전략의 활용과 지도 ∙ 269
1. 독서 수준별 독해 전략과 지도 269
가. 독해 능력의 구분과 하위 전략 269
나. 독해 전략을 적용한 독서 방법 277
2. 독서 과정별 독해 전략과 지도 284
가. 과정 중심 읽기 접근법의 배경 284
나. 과정 중심 읽기 지도 전략 287
3. 기타 독서 전략 293
가. 학습 독서 전략 293
나. 주제 통합적 독서 전략 297
제9장 텍스트 유형별 독서 지도 ∙ 303
1. 설명적 글 독해 전략과 지도 303
가. 설명적 글의 분류와 분석 이론 개관 305
나. 설명적 텍스트의 독해 전략 실제 310
2. 서사적 글 독해 전략과 지도 332
가. 서사적 글 독해를 위한 이론 개관 332
나. 서사적 텍스트의 독해 전략 실제 335
3. 디지털 텍스트의 독해 전략과 지도 343
가. 디지털 텍스트 독해의 이론 개관 343
나. 디지털 텍스트의 독해 전략 실제 347
제10장 독서 평가의 개념과 방법 ∙ 355
1. 독서 평가의 개념과 교사의 역할 355
가. 독서 평가의 개념과 문제점 355
나. 독서 평가의 목적과 교사의 역할 361
2. 독서 평가 설계의 준거와 추진 절차 364
가. 독서 평가 설계의 준거 365
나. 독서 평가의 추진 절차 370
3. 독서 평가 방법과 사례 372
가. 전통적인 선다형 검사 374
나. 대안적 독서 평가 방법과 사례 375
제11장 독서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 391
1. 독서 프로그램의 개발 391
가. 독서 프로그램의 목적 392
나. 독서 프로그램의 유형 393
다. 독서 프로그램의 개발 방법 408
2. 독서 프로그램의 운영 410
가. 독서 프로그램 운영의 기본 원칙 410
나. 독서 프로그램 운영과 독서교육전문가 412
다. 독서 프로그램 운영의 예 415
제12장 학습을 위한 독서 지도 ∙ 421
1. 학습을 위한 독서의 개념 421
가. 읽기 학습과 학습 읽기 423
나. 학습 독서 관련 개념의 비교 425
2. 학습 독서의 지도 방법 428
가. 학습 기능의 지도 429
나. 학습 전략의 지도 439
3. 교과 독서의 지도 방향 445
가. 교과 독서의 연구 동향 445
나. 교과별 독서의 특성:문학, 역사, 수학, 과학 사례 448

제3부 독서 교사교육론
제13장 독서교사의 전문성과 교사교육 ∙ 459
1. 독서교사의 개념과 역할 459
가. 독서교사와 독서교육 전문가 459
나. 독서교사의 역할 461
2. 독서교사의 전문성 기준 463
가. 국외의 사례:ILA의 독서교육 전문가 기준 463
나. 국내의 사례:한국독서학회의 독서교육 전문가 기준 468
다. 독서 평가 전문성 기준 471
3. 독서교사의 발달과 교사교육의 방향 473
가. 교사 발달 단계와 독서 교사교육 474
나. 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동료 학습 477
다. 독서 교사교육의 방향: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의 교섭 479

참고문헌 / 487
찾아보기 / 497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