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660.911
도서 한국사진사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ED0000077516 [연무]특화도서
660.911-박617ㅎ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근현대 사료에서부터 현대 미술의 중심에 선 현재까지 한국사진의 역사를 총망라하는 기념비적 역작 한국사진의 아키비스트로, 한국사진을 발굴하고 또 널리 알리는 큐레이터로 활동해온 한국이미지언어연구소 소장이자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교수 박주석의 『한국사진사』가...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한국사진사 - 박주석 지음
한국사진의 아키비스트로, 한국사진을 발굴하고 또 널리 알리는 큐레이터로 활동해온 한국이미지언어연구소 소장이자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교수 박주석의 저서이다. 집필에서 완성까지 30년, 수록 도판 총 300여 점, 원고지 약 3,000매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이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84585885&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감사의 글 011
서론 013

제1장 조선과 사진의 만남
1. 조선의 역사적, 사회적 상황과 사진 029
2. 연행록과 이항억의 『연행일기』 030
3. 연행사절단의 사진 접촉과 기록 034
4. 연행사 일행의 사진 040
부록 오경석의 초상사진 045

제2장 ‘사진’으로 칭한 포토그라피
1. 사진과 포토그라피 053
2. 연행록의 용어-사진 054
3. ‘사진’이란 용어의 역사적 전통 059
4. ‘사’와 ‘진’의 미학적 의미와 변화 066
5. 한국사진의 가치 정립 070
부록 칠실파려안과 조선의 사진이미지 이론 수용 072

제3장 사진의 도입과 수용
1. 한국사진 도입 연구의 과정과 문제점 083
2. 김용원의 사진 도입 087
3. 지운영의 촬영국과 고종 어사진 092
4. 황철의 사진 촬영소 096
5. 사진 도입의 완성과 의미 100
부록 시인.화가로서의 지운영 102

제4장 조선을 향한 제국의 시선
1. 구한말의 사진 기록-제국의 시선 111
2. 제국주의가 세상을 통제하고 수집하는 장치-사진 112
3. 제국주의 세력의 침탈 과정에서 이루어진 사진 생산과 유통 116
4. 서양인의 수집용 사진 생산방식과 유통 123
5. 전문적 및 아마추어 사진가의 사진 생산과 유통 129
부록 일본 제국주의의 시선과 활동 136

제5장 천연당사진관과 사진관의 시대 141
1. 천연당사진관의 설립 143
2. 황실 사진가 김규진 146
3. 천연당사진관의 역사적 경과 150
4. 사진관의 확산과 사진사 160
부록 1 대한매일신보와 천연당사진관 168
부록 2 YMCA 사진과와 『자택독습최신사진술』 172

제6장 신낙균과 사진의 시대
1. 신낙균과 사진 183
2. 삶의 여정 184
3. 근대정신과 예술의 선각 193
4. 민족정신과 기자 정신의 수호 198
5. ‘한국사진학’의 출발과 정립 201
6. 신낙균의 역사적 의미 208
부록 경성사진사협회 212

제7장 예술사진의 유행-예술로 진화한 사진
1. 예술사진의 등장 229
2. 예술사진과 아마추어 사진 231
3. 예술사진의 형식과 미학 235
4. 전조선사진연맹과 《조선사진전람회》 241
5. 조선일보의 ‘납량사진 현상모집’ 250
6. 신문의 예술사진 수용-스케치 사진 258
7. 살롱 사진 그리고 실험적 사진 264
부록 예술가로서의 자의식과 정해창의 《예술사진 개인전람회》 269

제8장 해방공간-사진의 새로운 가치 모색
1. 해방 직후의 혼란과 이념적 대립 297
2. 해방 직후 사진 단체의 활동 299
3. 조선사진예술연구회 306
4. 《예술사진동인전》 312
5. 조선사진동맹 316
6. 《제1회 임석제예술사진개인전》 322
7. 한국사진의 중단 334
부록 해방공간의 혼란과 전쟁 그리고 사진 기록 338

제9장 생활주의리얼리즘 사진의 등장과 전개 361
1. 새로운 사회환경, 새로운 사진의 가치 363
2. 생활주의리얼리즘 사진의 유래 364
3. 생활주의리얼리즘의 논리와 미학 368
4. 생활주의리얼리즘 사진의 전개 양상 372
5. 생활주의리얼리즘 사진의 작품 경향 381
6. 《인간가족전》과 생활주의리얼리즘 386
7. 생활주의리얼리즘의 진화-조형주의 사진 389
8. 생활주의리얼리즘 사진의 성과와 한계 393
부록 《인간가족전》 396

제10장 기록사진의 등장과 전개
1. 다큐멘터리 사진의 번역-기록사진 407
2. 현대사진연구회와 『사안』 410
3. 『사안』에 나타난 기록사진 담론 417
4. 주명덕의 《홀트씨고아원》과 전몽각의 《윤미네 집》 422
5. 현대사진연구회의 사진사적 의미 430
부록 작가주의 사진가 부운 현일영 432

제11장 기록사진을 이끈 잡지의 시대
1. 잡지 전성기의 한국사진 451
2. 시사잡지의 기록사진 452
3. 주명덕의 ‘한국의 이방’과 ‘한국의 가족’ 시리즈 454
4. 강운구의 ‘마을 삼부작’ 시리즈 466
5. 기록사진의 또다른 성과 471
6. 이청준의 「시간의 문」 475
부록 기록사진과 보도사진, 개념의 변화와 혼란 477

제12장 다양한 가치를 추구한 한국 현대 사진
1. 한국사진의 재정립 493
2. 형식주의 사진의 한국성 탐구 496
3. 기록사진의 진화, ‘다큐멘터리 스타일’ 506
4. 사회참여 사진 운동 514
5. 매체를 실험하는 미술작품으로서의 한국사진 520
6. 사진 속의 미술, 미술 속의 사진 531
부록 매체 환경의 변화와 한국사진 534

후기 539

주 543
참고문헌 575
찾아보기 579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