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591.9
도서 생애。전환。학교: 모험을 디자인하는 신중년 문화예술 수업
  • ㆍ저자사항 고영직...외등
  • ㆍ발행사항 파주: 서해문집, 2021
  • ㆍ형태사항 319 p.: 삽화; 21 cm
  • ㆍ일반노트 등저: 김찬호,백현주,고재열,구민정,안태호,유현아,정광필,정성원,정원철,현혜연
  • ㆍISBN 9791190893527
  • ㆍ주제어/키워드 생애 전환 학교 노후생활 문화예술교육
  • ㆍ소장기관 논산열린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NE0000047910 [열린]종합자료실
591.9-생612ㅅ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생애전환기를 맞아 제2의 인생을 설계하는 신중년 베이비부머 세대에게, 창의적 ‘전환’의 삶을 제안하는 책. 은퇴 이후의 삶에 대한 경제적 공포와 고립 공포감에 짓눌리지 말고, 몸과 마음의 리모델링을 통해 어떻게 주체적으로 문화적 삶을 창조해 나갈 것인지를 다양한 구체적인 사례 속에서 탐색해본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생애。전환。학교 - 고영직 외 지음
생애전환기를 맞아 제2의 인생을 설계하는 신중년 베이비부머 세대에게, 창의적 ‘전환’의 삶을 제안하는 책. 은퇴 이후의 삶에 대한 경제적 공포와 고립 공포감에 짓눌리지 말고, 몸과 마음의 리모델링을 통해 어떻게 주체적으로 문화적 삶을 창조해 나갈 것인지를 다양한 구체적인 사례 속에서 탐색해본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66810042&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1부 창의적 ‘전환’의 삶을 위하여

01 ‘신중년’은 누구이며, 무엇이 되고자 하는가? _ 김찬호
급변하는 생애 주기, 65세까지가 청년이다? | 욜드(Young Old), 영원한 현역이고 싶은 베이비부머 | 언제나 사회의 중심부에서, 신중년 세대의 자의식 | 꼰대가 되지 않으려면 | ‘위쪽으로 떨어지다’, 마음을 리모델링하는 전환으로

02 창의적으로 나이 든다는 것 : 다른 ‘나’로 살기 _ 정원철
‘본캐’와 ‘부캐’ 사이, 선택된 삶 | 다른 이름 짓기, 다른 삶 살기 | 몸으로 반응하기, 삶의 창조력 살리기 | 치열한 예술 행위, 다른 ‘나’로 살기

03 ‘전환’의 삶은 어떻게 가능한가 :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_ 고영직
멈추기, 머무르기, 딴 데 보기 | 정서적 지원이 중요하다 | ‘위하여’ 살지 말고 ‘의하여’ 살자 | 행복은 동료로부터 온다―무형식의 배움을 위하여 | 나만의 문화 정책은 무엇일까

2부 낯선 감각, 이토록 예술적인 ‘전환’이라니!


04 태초에 ‘멋’이 있었다 : 인천 연수 ‘제멋대로大路학교’ 이야기 _ 고영직
“제멋대로학교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옷에 대한 새로운 철학―‘낭만’ 패션 프로그램 | ‘큐브 안 개구리’는 없다―나답게 머무는 주거 프로그램 | 나중이 어딨어?―신중년 프로그램의 ‘진화’를 위하여

05 어른을 위한 놀이, 1박 2일간의 연극 여행 : 50+인생학교 ‘드래곤호의 모험’ 이야기 _ 구민정
아차! 했던 ‘결핍’의 내러티브 | 어린아이 같은, 망각과 가벼움이 필요해 | 여행을 떠나기 전에 | 다이내믹 드래곤호 출발, 플롯이 있는 내러티브 놀이로 워밍업 | 드라마 활동 1 : 그림책 연극 <배낭을 멘 노인> | 드라마 활동 2 : 스무 살의 내가 쉰 살의 나에게 건네는 〈빈 의자 대화〉 | 50+의 이야기는 힘이다

06 나의 삶을 응원하는 글쓰기 _ 유현아
이야기를 모으는 계절 | 내 이야기가 어때서?! | 나의 이야기의 이야기들 | 첫 생각은 어떻게 나올까―상상력에 말 걸기 | 내 생애 최고의 순간 | ‘문학과 함께 한 달 살아보기’ 프로젝트―‘마고의 이야기 공작소’ 사례 |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07 또 하나의 언어, 사진으로 쓰는 전환 이야기 _ 현혜연
다시, ‘나이 듦’이란 무엇인가.해석의 언어에 관하여 | 대안적 언어, 사진의 힘 | ‘바라봄’이라는 특별한 경험 | 타인의 삶에 경탄하다―‘사진과 함께 한 달 살아보기’ 프로젝트 | 삶이야말로 가장 훌륭한 콘텐츠 | 창의적 협력의 열린 과정이 이끄는 생의 전환

08 언택트 시대의 콘택트, 여행자 플랫폼 만들기 _ 고재열
사표를 내니 모든 것이 선명해졌다 | 여행이란, 설렘을 연출하는 일 | 외로움이라는 만성질환, 죽음을 준비하는 한 형식으로서의 여행 | 선의가 빚어낸 위험 | <심야식당>을 닮은 여행자들, ‘마음의 마을’을 만들다

09 “장래희망은 한량입니다” : 전환을 꿈꾸는 청년들의 커뮤니티, 목포 ‘괜찮아마을’ 이야기 _ 안태호
“실컷 웃었더니 좀 살 것 같아요” | “괜찮아, 일단 쉬자” “괜찮아, 상상해봐” “괜찮아, 저지르자” | 전환을 위한 조건, 생활비와 주거 솔루션 | 우리는 지옥을 깨고 나올 자유가 있다

3부 끝나지 않은 ‘전환’의 실험이 남긴 것들


10 새로운 휴먼 네트워크 플랫폼 : ‘뭐라도학교’의 실험 _ 정성원
아버지의 근육과 노인 X세대의 등장 | 시니어여, 링에 올라서자 | 실험의 조건들 | ‘뭐라도학교’의 탄생, 기획부터 준비까지 | 세 가지 사업 : 누구나 가르치고 배우는 교육, 커뮤니티, 사회 공헌 | ‘시니어’라 쓰고 ‘희망’이라 읽는다

11 말랑하게, 앙코르커리어! : ‘50+인생학교’의 실험 _ 정광필
어떻게 ‘안전하다’고 느낄까? | ‘당신들의 천국’ 너머, 선한 의지를 모아서 | 세대 통합이면 더욱 좋다 | 50 +세대의 도전과 꿈

12 모험을 디자인하는 중립 지대 : 인천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생애전환학교’의 실험 _ 백현주
“이런 중년, 문제라고 생각하니?” | 시시하지만 찬란하게 | 전환을 위한 연습, 발견 노트 | 버킷리스트 말고 ‘전환’!―낭비하는 시간이 변화를 만든다 | 나의 좀 모자란 영웅과의 만남을 위하여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