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228.7
도서 낭송 선어록
  • ㆍ저자사항 문성환 풀어 읽음
  • ㆍ발행사항 서울: 북드라망, 2015
  • ㆍ형태사항 192 p.; 19 cm
  • ㆍ총서사항 낭송Q시리즈, 서백호; 03
  • ㆍISBN 9788997969555
  • ㆍ주제어/키워드 낭송 선어록 낭송Q 선종
  • ㆍ소장기관 논산열린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NE0000004490 [열린]종합자료실
228.7-문592ㄴ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고전평론가 고미숙이 제안하는 새로운 독서운동!고전의 매개자를 자처하며 ‘고전평론가’로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고미숙의 2007년 작인 《공부의 달인 호모 쿵푸스》에서 저자는 ‘낭송’을 공부의 방법으로 제시한 바 있다. 실제 고미숙은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서 매 학기마다 ‘낭송 오디션’을 치르고...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낭송 선어록 - 고미숙 기획, 문성환 옮김
동양고전의 낭송을 통해 양생과 수행을 함께 이루는, 몸과 고전의 만남 '낭송Q시리즈' 중 금의 기운을 담은 서백호편의 세번째 책. 아무리 가볍게 읽어 보려 해도 가벼워지지가 않는 선사들의 선문답을 <벽암록>, <무문관>, <종용록> 등 세 편의 선어록집에서 엄선했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52680381&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머리말 : 낭송하는 선어록

1. 무와 평등
1-1. 수산의 신부
1-2. 화엄경의 지혜
1-3. 중읍의 원숭이
1-4. 수산의 세 구절
1-5. 앙산의 조금
1-6. 운문의 호떡
1-7. 덕산이 금강경에 불을 지르다
1-8. 움직인 것은 마음이다
1-9. 마음에 도달하면 부처다
1-10. 마음도 아니고 부처도 아니다
1-11. 좋은 말은 채찍의 그림자만 보고도 달린다
1-12. 길에서 깨달은 도인을 만나면
1-13. 백척간두진일보
1-14. 도솔의 세 관문
1-15. 건봉의 한 길
1-16. 여릉의 쌀값
1-17. 법안의 뱃길과 물길
1-18. 종조산의 법신
1-19. 천 개의 손과 천 개의 눈
1-20. 엄양의 한 물건
1-21. 청림의 죽은 뱀
1-22. 자소의 법맥
1-23. 조주의 일곱 근 장삼
1-24. 텅 비어 성스러울 게 없다
1-25. 다 물었으면 절이나 하고 돌아가라
1-26. 마조의 흑과 백
1-27. 오대산의 노파
1-28. 임제의 눈먼 나귀
1-29. 임제의 대오
1-30. 동산의 풀 없음
1-31. 동산의 편치 않음
1-32. 임제의 한 획
1-33. 운문의 밥과 물
1-34. 나는 늘 여기에 절실하다
1-35. 호떡과 만두
1-36. 본래 늘 그러한 이치
1-37. 천만 봉우리로 곧장 들어가다
1-8. 백가주를 마신 청세
1-39. 조주가 암자에서 묻다
1-40. 서암화상과 주인공
1-41. 덕산화상의 탁발
1-42. 남전화상이 고양이를 베다
1-43. 동산의 수행과 깨달음
1-44. 혜충국사와 시자의 배반

2. 부정과 해체
2-1. 마조의 일면불 월면불
2-2. 바랑을 멘 채 법당에 오른 덕산
2-3. 쌀알만 한 우주
2-4. 날마다 좋은 날
2-5. 법안과 혜초
2-6. 취암의 눈썹
2-7. 동문 서문 남문 북문
2-8. 할 다음엔 어떻게 할 것인가
2-9. 동산화상의 마 삼 근
2-10. 파릉의 제바종
2-11. 상황에 따라 한 말씀
2-12. 상황이 없다면 말을 뒤집어야
2-13. 줄탁동시(啐啄同時)
2-14. 오래 앉아 있었더니 피곤하다
2-15. 충국사의 무봉탑
2-16. 달마가 서쪽에서 온 뜻
2-17. 지문화상의 연꽃
2-18. 남산의 설봉이 독사를 상대하는 법
2-19. 평상심이 도
2-20. 말은 혀끝에 달린 게 아니다
2-21. 운문의 똥막대기
2-22. 가섭과 아난
2-23. 육조 혜능의 본래면목
2-24. 철마의 늙은 암소
2-25. 백장의 드높은 봉우리
2-26. 나무는 뼈가 드러나고 노란 단풍 바람이 불다
2-27. 말해지지 않은 설법
2-28. 진주에는 큰 무가 난다
2-29. 마곡의 주장자를 떨치고
2-30. 임제의 한 차례 때림
2-31. 앞으로 삼삼, 뒤로 삼삼
2-32. 황금빛깔 털을 가진 사자
2-33. 천지는 나와 뿌리가 같고 만물은 나와 한몸이다
2-34. 날이 밝거든 가거라
2-35. 장님처럼 보고 벙어리처럼 말하라
2-36. 춥지도 않고 덥지도 않기
2-37. 그물을 벗어난 황금빛 물고기
2-38. 조주의 돌다리
2-9. 들오리 날다
2-40. 지극한 도는 어렵지 않다 ①
2-41. 지극한 도는 어렵지 않다 ②
2-42. 지극한 도는 어렵지 않다 ③
2-43. 스님의 목이 떨어졌습니다
2-44. 목구멍과 입을 모두 없애면 어떻게 말하겠는가
2-45. 투자의 제일의(第一義)

3. 자유와 춤
3-1. 반야의 본체와 작용
3-2. 개에게도 불성이 있습니까 ①
3-3. 백장화상과 여우 노인
3-4. 동자승의 손가락을 잘라버린 구지화상
3-5. 서천의 오랑캐 달마는 왜 수염이 없는가
3-6. 나무 위의 일을 묻다
3-7. 세존이 꽃을 들다
3-8. 그럼 발우를 씻게
3-9. 바퀴살 백 개짜리 수레
3-10. 부처는 불도를 이루지 않는다
3-11. 말에도 침묵에도 걸리지 않기
3-12. 세번째 자리에서 설법하다
3-13. 두 명의 스님이 주렴을 말아올리다
3-14. 뜰 앞의 잣나무
3-15. 소가 창문을 통과하다
3-16. 말에 떨어져 버리다
3-17. 말할 수 없으니 걷어차 버려라
3-18. 달마가 혜가의 마음을 편안히 하다
3-19. 문수보살과 삼매에 든 여인
3-20. 수산의 죽비
3-21. 파초의 지팡이
3-22. 그는 누구인가?
3-23. 앙산이 가래를 꽂다
3-24. 법안의 털끝
3-25. 개에게도 불성이 있습니까 ②
3-26. 운문의 수미산
3-27. 지장의 친절
3-28. 덕산이 할을 지르니 암두가 절을 하다
3-29. 염관의 무소뿔 부채
3-30. 호국의 세 차례 웃음거리
3-31. 풍혈의 무쇠소
3-32. 남산엔 구름, 북산엔 비
3-33. 앙산의 마음과 경계
3-34. 풍혈의 한 티끌
3-35. 낙포의 굴복
3-36. 위산의 업
3-37. 임제의 참된 자유인
3-38. 낙포의 임종
3-39. 남양의 물병
3-40. 나산의 생겨남과 소멸함
3-41. 유마의 침묵
3-42. 설봉의 이 머꼬
3-43. 생각 생각마다 정체하지 않는다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