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519.0912
도서 중국의학의 기원
  • ㆍ저자사항 야마다 케이지 저 ;
  • ㆍ발행사항 광주 : 수퍼노바, 2016
  • ㆍ형태사항 708 p. : 삽화 ; 25 cm
  • ㆍ일반노트 원저자명: 山田慶兒 색인수록
  • ㆍISBN 9791195665808
  • ㆍ주제어/키워드 중국의학 기원
  • ㆍ소장기관 연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GD0000015605 [연무]보존서고
519.0912-야777ㅈ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야마다 케이지의 의학 관련 대표작 『중국의학의 기원』. 이 책은 동양의학에 대한 동경이나 찬탄, 신비감 등의 이미지 없이, 하나의 ‘객관적 사태’로서 동양의학을 파악하고 해부해 나간다. 철저한 문헌 고증을 통해 침구, 탕액, 본초, 해부, 진단 등의 기원에 대해 상호 유기적 그림을 그려내었다. 전체 2부로...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중국의학의 기원 - 야마다 케이지 지음, 윤석희.박상영 옮김
<주자의 자연학> 저자 야마다 케이지의 의학 관련 대표작으로, 하나의 ‘객관적 사태’로서 동양의학을 파악하고 해부해 나간다. 철저한 문헌 고증을 통해 침구, 탕액, 본초, 해부, 진단 등의 기원에 대해 상호 유기적 그림을 그려내었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81939177&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 서설(序說)

Ⅰ 기원起源

제1장 침구(鍼灸)의 기원
1. 고전 속의 서술과 출토 의서
2. 수술용구로서의 폄석(?石)
3. 《황제내경黃帝內經》의 폄(?)?침(鍼)?석(石)
4. 《사기史記》〈편작창공열전扁鵲倉公列傳〉의 침구(鍼灸)
5. 출토 의서와 출토 유물
6. 폄법(?法)·침법(鍼法)?구법(灸法)
7. 침구의 기원에 관한 가설명제군(假說命題群)
? 부록 《음양맥사후陰陽脈死候》

제2장 탕액(湯液)의 기원
1. 제형(劑形)으로서의 탕액
2. 《오십이병방》의 원(原)-탕액(湯液)
3. 《무위한대의간武威漢代醫簡》의 탕방(湯方)
4. 《사기》〈편작창공열전扁鵲倉公列傳〉의 탕(湯)과 화제(火齊)
5. 《황제내경》의 탕액(湯液)과 요례(?醴)
6. 탕액파(湯液派)라는 유파(流派)와 《상한잡병론傷寒雜病論》

제3장 본초(本草)의 기원
1. 전설에서 역사로
2. 학문으로서의 본초의 성립
3. 본초서(本草書)의 출현
4.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의 편찬
5. 초기 본초에 대한 분석
6. 《신농神農》〈서록序錄〉 일문(佚文)이 의미하는 것
7. ?신농?을 기록한 사람들

제4장 최초의 임상의학서
1. 《오십이병방五十二病方》의 구성
2. 《오십이병방》의 주술요법


Ⅱ 고전古典

제5장 《황제내경》의 성립
1. 황제학파의 논문집
2. 원형으로서의 마왕퇴 출토의서
3. 출토 의서로부터 《황제내경》을 차이 짓는 것
4. 황제학파의 형성과 발전

제6장 구궁팔풍설(九宮八風說)과 ?풍(風)?의 병인론(病因論)
1. 작업가설과 분석방법
2. 태일구궁점반(太一九宮占盤)
3. 구궁점풍가(九宮占風家)
4. 원단(元旦)의 점풍(占風)
5. 팔풍(八風)과 병과 구궁팔풍도(九宮八風圖)
6. 병가(兵家)의 점풍(占風)
7. 자연의 리듬과 신체의 리듬
8. 구궁팔풍설(九宮八風說)의 행방
9. 발성기관의 해부와 음악
10. 유형론적 사고
11. 소사파(少師派)의 위치

제7장 계량 해부학과 인체계측 사상
1. 왕망(王莽)의 해부
2. 《황제내경黃帝內經》의 해부논문
3. 《난경難經》의 해부 관련 서술
4. 생리학과 오행?천문사상
5. 대우주와 소우주의 조응
6. 백고파(伯高派)와 병법가(兵法家)
7. 황제내경 십팔권(黃帝內經十八卷)과 황제학파(黃帝學派)
8. 계량해부학(計量解剖學)에서 기술해부학(記述解剖學)으로

제8장 진단 제법과 ?허(虛)?의 병리학
1. 《난경難經》의 고맥법(古脈法)
2. 규탁(揆度)?기항(奇恒)
3. 음양(陰陽)?종용(從容)?자웅(雌雄)
4. 오중(五中)
5. 인영촌구맥법(人迎寸口脈法)
6. 종시(終始)
7. 비류(比類)?명당(明堂)
8. 문진(問診)과 인사(人事)
9. 내인론(內因論)과 ?허(虛)?의 병리학
? 보론 삼초(三焦)

제9장 삼부구후법(三部九候法)과 고대의학 형성의 패턴
1. 삼부구후론(三部九候論)의 구성
2. 구침의 기법과 구침론
3. 구침편(九鍼篇) 속의 역사
4. 삼부구후법(三部九候法)의 자법(刺法)
5. 상맥법(相脈法)에서 삼부구후맥법(三部九候脈法)으로
6. 고대의학 형성의 패턴

주(注)
후기
도판 출전 일람
찾아보기
역자후기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