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981.1
도서 (역사와 어원으로 찾아가는) 우리 땅 이야기
  • ㆍ저자사항 최재용 지음
  • ㆍ발행사항 파주 : 북이십일, 2015
  • ㆍ형태사항 392 p; 23 cm
  • ㆍISBN 9788950961701
  • ㆍ소장기관 상월주민자치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GE0000000016
981.1-최73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세정보

<방방곡곡 우리 땅이 품고 있는 민초들의 삶과 역사, 그 지명 유래에 얽히고설킨 이야기와 언어학적 변천사! 우리가 무심코 부르는 동네 이름을 비롯해 우리 땅의 수많은 산과 강, 고개, 섬 등의 이름은 그 모양을 상징할 뿐만 아니라 오랜 역사의 숨결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그런 만큼 이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우리 땅 이야기 - 최재용 지음
북한을 포함한 우리나라 여러 땅 이름의 유래를 쉽게 풀어 소개한다. 각 지역에 전해오는 이야기와 역사적 사실도 흥미롭게 와닿는다. 그 밑바탕과 근거로 삼은 것은 옛 문헌 자료와 역사 서적, 국어학자 또는 관련 분야 학자들의 연구 성과이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66936406&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서문 - 인문학적 시선으로 우리 땅 이름을 들여다보다
일러두기

1 더없이 크고 높고 귀하다 _말고개에서 절두산까지
큰 고개에 붙여진 이름 | 마리산인가, 마니산인가 | 그 모양이 말의 귀와 같다 하여 | 달라 보여도 같은 이름 | 한번 부르기도 황송한 사람, 마누라

2 땅 이름이 사람 이름으로 둔갑하다 _울돌에서 노량진까지
큰 소리로 우는 바다의 도랑 | 산이 우는 것처럼 들린다 | ‘손돌’은 사람 이름이 아니다 | 도루묵과 말죽거리

3 산이 땅으로 늘어지며 내려오다 _황산벌에서 연평도까지
황산벌은 피로 물든 누런 벌판일까? | 길게 늘어진 모양의 땅 이름 | 무책임한 조정이 뒤집어씌운 굴레, 화냥년

4 기왕이면 더 좋은 뜻을 가진 이름으로 _검단에서 부산까지
뒤쪽에 있는 땅 | 제사를 지내는 신성한 땅 | 산 모양이 가마와 같다?

5 북쪽 시베리아에서 남쪽 한반도로 향하다 _남산에서 목포까지
앞은 ‘남’이요, 뒤는 ‘북’이라 | 경주 남산에 전해오는 이야기들 | ‘나무 목木’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

6 조금 더 높은 곳이면 _소래에서 추전역까지
소정방이 정말로 그곳에 갔을까? | 높은 곳을 뜻하는 순우리말 ‘수리’ | 속세를 잊게 할 만한 산이 속리산뿐이랴 | 새의 이름에 맞춰 한자로 바꾸다 | 추전역에 가면 싸리밭이 많을까?

7 삐죽하게 튀어나오다 _호미곶에서 강화도까지
호미보다 범꼬리가 낫다 | 곶이 ‘꽃’이 되다 | 강과 바다가 만나는 갑곶

8 밝은 빛을 숭배하다 _백두산에서 주안까지
신격을 갖춘 산과 그 이름 | 전설은 전설로 간직하고 | 광범위하게 스며들어 변형된 ‘ 사상’ | 민족적 천재의 배신과 몰락

9 까치와 여우에 홀리다 _까치울에서 여우내까지
‘아차’라는 땅 이름과 만들어진 이야기들 | 작거나 새롭다는 뜻의 ‘앗’ | 여우골에는 여우가 많이 살았을까?

10 높은 곳에 넓은 터를 잡다 _달구벌에서 섬진강까지
높고 넓은 마을을 다스리다 | 달이냐, 닭이냐 | 산이 두꺼비로 둔갑한 사연

11 주변을 휘감아 싸다 _두무악에서 와우산까지
병풍처럼 둥그렇게 | ‘두름’이 두루미와 누워 있는 소로 바뀌다 | 도미 전설과 ‘두문불출’

12 둘이 만나 하나로 어우러지다 _아우라지에서 동두천까지
아우라지와 얼음, 그리고 어른이 된다는 것 | 물이 섞이다 | 두 개의 냇물이 흐르다 만나는 곳

13 비스듬히 꺾이거나 비탈지다 _옹진에서 비로봉까지
벼루도 베틀도 아닌 비탈진 곳 | 땅 이름이 엉뚱한 이야기를 만들어내다 | 간절하게 소원을 빌다

14 길과 물이 갈리다 _가야에서 노령까지
땅을 가로지르면서 양쪽으로 가르다 | 칼처럼 뾰족해서, 목이 말라서? | ‘갈라진’ 곳에서 ‘칡’이 많은 땅으로 | 갈재에 전해오는 홍길동 이야기

15 새롭고 신성한 마을이 생기다 _조령에서 삽교까지
풀, 동쪽, 그리고 새롭다 | 두 지역 사이에 있는 땅 | ‘삽다리’가 다리 이름이라고? | 순우리말인 ‘서방’과 ‘시집’

16 이름은 달라도 ‘크다’는 뜻은 같다 _한뫼에서 노고단까지
크고 많은 것을 뜻하는 글자 | ‘한뫼’가 ‘할미’로 발음되어 노고산이 되다 | 한나라글, 크고 바른 글

17 작은 돌섬은 이제 외롭지 않다 _독도
섬에 사람이 살지 못하게 하다 | 풀이 자라지 않는 ‘독섬’ | 독도는 우리에게 무슨 말을 하고 있는가

그 밖의 땅 이름
큰 인물들이 태어나다
안방처럼 아늑하다
성이 있던 곳임을 암시하다
가장자리에 있거나 조금 가깝거나
산속에 자리하다

참고문헌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