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KDC : 148.3
도서 사자논어 100선: 큰글자도서: 네 글자에 담긴 성현의 지혜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NE0000047601 [열린]종합자료실(큰글)
큰글148.3-최819ㅅ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2500년 전의 지혜는 지금 우리 곁에 있다네 글자로 압축한 100개의 경문으로 살아 숨 쉬는 논어의 깊이와 여운, 무력하고 아둔한 일상을 일으켜 통찰과 여유를 세운다 큰글자로 만나는 100가지 지혜 공자와 제자들이 겪은 삶의 진액이 넘쳐 나는 이야기 《논어》. 2500여 년이 흐르는 동안 수많은 사람에게 삶의...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큰글자책] 사자논어 100선 - 최영갑.김용재.진성수 지음
공자와 제자들이 겪은 삶의 진액이 넘쳐 나는 이야기 <논어>. 2500여 년이 흐르는 동안 수많은 사람에게 삶의 의미와 지혜를 전달한 살아 있는 고전이다. 이 책은 방대한 <논어> 전문 중 우리에게 감동과 교훈을 주는 이야기를 네 글자로 만들어 펴냈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46927781&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책을 펴내며

1. 學而時習학이시습 <학이> : 배우고 때때로 익힌다.
2. 君子務本군자무본 <학이> : 군자는 근본에 힘쓴다.
3. 巧言令色교언영색 <학이> : 말을 교묘하게 잘하고 얼굴빛을 잘 꾸민다.
4. 吾日三省오일삼성 <학이> : 나는 날마다 세 가지를 반성한다.
5. 賢賢易色현현역색 <학이> : 어진 사람을 어질게 여기되 여색을 좋아하는 마음과 바꿔라.
6. 愼終追遠신종추원 <학이> : 상례를 신중하게 하고 먼 조상을 추모한다.
7. 食無求飽식무구포 <학이> : 먹을 때에 배부름을 추구하지 않는다.
8. 富而無驕부이무교 <학이> : 부유해도 교만하지 않다.
9. 四十不惑사십불혹 <위정> : 마흔 살에는 의혹되지 않는다.
10. 不違如愚불위여우 <위정> : 어기지 않는 것이 마치 어리석은 사람 같다.
11. 溫故知新온고지신 <위정> : 옛것을 익히고서 새로운 것을 안다.
12. 君子不器군자불기 <위정> : 군자는 그릇이 되어서는 안 된다.
13. 周而不比주이불비 <위정> : 두루 사귀되 파벌을 만들지 않는다.
14. 多聞闕疑다문궐의 <위정> : 많이 듣고서 의심스러운 것을 제거하라.
15. 繪事後素회사후소 <팔일> : 그림 그리는 일은 하얀 비단을 준비한 뒤에 한다.
16. 樂而不淫낙이불음 <팔일> : 즐거우면서도 음탕하지 않다.
17. 旣往不咎기왕불구 <팔일> : 이미 지나간 일은 허물하지 않는다.
18. 居上不寬거상불관 <팔일> : 윗자리에 있으면서 너그럽지 못하다.
19. 仁者安仁인자안인 <이인> : 어진 사람은 인을 편안하게 여긴다.
20. 君子懷德군자회덕 <이인> : 군자는 덕을 생각한다.
21. 見賢思齊견현사제 <이인> : 어진 사람을 보면 그와 같이 가지런하게 될 것을 생각한다.
22. 勞而不怨노이불원 <이인> : 수고스럽더라도 원망하지 않는다.
23. 訥言敏行눌언민행 <이인> : 말은 어눌하게 하고 행동은 민첩하게 한다.
24. 聞一知十문일지십 <공야장> :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
25. 不恥下問불치하문 <공야장> : 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26. 久而敬之구이경지 <공야장> : 오래되어도 공경한다.
27. 老者安之노자안지 <공야장> : 노인을 편안하게 해 주고자 한다.
28. 簞食瓢飮단사표음 <옹야> : 대바구니에 담긴 밥과 표주박에 담긴 물
29. 敬而遠之경이원지 <옹야> : 공경하되 멀리한다.
30. 仁者樂山인자요산 <옹야> :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31. 博施濟衆박시제중 <옹야> : 널리 베풀어 대중을 구제하다.
32. 學而不厭학이불염 <술이> : 학문을 싫어하지 않는다.
33. 暴虎馮河포호빙하 <술이> : 맨손으로 호랑이를 잡고 맨몸으로 강을 건너다.
34. 發憤忘食발분망식 <술이> : 분발하여 먹는 것도 잊다.
35. 威而不猛위이불맹 <술이> : 위엄이 있으면서도 사납지 않다.
36. 恭而無禮공이무례 <태백> : 공손하되 예가 없다.
37. 如履薄氷여리박빙 <태백> : 엷은 얼음을 밟듯 조심해라.
38. 將死言善장사언선 <태백> : 사람이 장차 죽음에 임할 때는 그 말이 선하다.
39. 犯而不校범이불교 <태백> : 자신에게 잘못을 범하였어도 따지지 않는다.
40. 任重道遠임중도원 <태백> : 책임은 무겁고 가야 할 길은 멀다.
41. 好勇疾貧호용질빈 <태백> : 용맹을 좋아하고 가난을 싫어한다.
42. 篤信好學독신호학 <태백> : 독실하게 믿으면서 배우기를 좋아한다.
43. 學如不及학여불급 <태백> : 배움은 마치 따라가지 못하듯 해라.
44. 博文約禮박문약례 <자한> : 널리 학문을 닦아 사리에 밝고 예절을 잘 지킨다.
45. 欲居九夷욕거구이 <자한> : 아홉 오랑캐의 땅에서 살고자 한다.
46. 逝者如水서자여수 <자한> : 가는 것이 마치 물과 같구나.
47. 後生可畏후생가외 <자한> : 후학이 가히 두려울 만하다.
48. 過勿憚改과물탄개 <자한> : 허물이 있거든 고치기를 꺼리지 마라.
49. 智者不惑지자불혹 <자한> : 지혜로운 자는 의혹되지 않는다.
50. 不正不坐부정부좌 <향당> : 자리가 바르지 않으면 앉지 않으셨다.
51. 顔回好學안회호학 <선진> : 안회는 배우기를 좋아했다.
52. 言必有中언필유중 <선진> : 말을 하면 반드시 도리에 맞음이 있다.
53. 升堂未室승당미실 <선진> : 당에는 올랐고 방에는 아직 들어오지 못하다.
54. 過猶不及과유불급 <선진> :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
55. 惡夫佞者오부영자 <선진> : 말재주 있는 자를 미워하다.
56. 風乎無雩풍호무우 <선진> : 무우 땅에서 바람 쐬다.
57. 克己復禮극기복례 <안연> : 자신의 사욕을 이겨 예로 돌아가다.
58. 無信不立무신불립 <안연> : 신뢰가 없다면 설 수 없다.
59. 文質彬彬문질빈빈 <안연> : 외면과 내면이 빛나고 빛나도다.
60. 君君臣臣군군신신 <안연> : 임금이 임금답고 신하가 신하답다.
61. 行之以忠행지이충 <안연> : 행하기를 충으로써 한다.
62. 成人之美성인지미 <안연> : 다른 사람의 아름다움을 이루어 준다.
63. 政者正也정자정야 <안연> : 정치는 바로잡는 것이다.
64. 草上之風초상지풍 <안연> : 풀 위의 바람이다.
65. 以文會友이문회우 <안연> : 글로써 벗을 모은다.
66. 先之勞之선지노지 <자로> : 솔선할 것이며 부지런히 해야 한다.
67. 無見小利무견소리 <자로> : 작은 이익을 보지 마라.
68. 和而不同화이부동 <자로> : (군자는) 조화롭고 (맹목적으로) 부화뇌동하지 않는다.
69. 剛毅木訥강의목눌 <자로> : 강하고 굳세고 질박하고 어눌하다.
70. 君子上達군자상달 <헌문> : 군자는 위로 통달한다.
71. 爲己之學위기지학 <헌문> : 자신을 위한 학문
72. 患其不能환기불능 <헌문> : 자신의 능하지 못함을 걱정한다.
73. 以直報怨이직보원 <헌문> : 정직으로 원망을 갚는다.
74. 修己安人수기안인 <헌문> : 자기를 수양하여 백성을 편안하게 한다.
75. 一以貫之일이관지 <위령공> : 하나의 이치로 모든 일을 꿰뚫는다.
76. 邦有道仕방유도사 <위령공> : 나라에 도가 있으면 벼슬을 한다.
77. 殺身成仁살신성인 <위령공> : 자신의 몸을 희생하여 인을 이룬다.
78. 人無遠慮인무원려 <위령공> : 사람이 멀리 생각하는 것이 없다.
79. 反求諸己반구저기 <위령공> : 돌이켜 자신에게서 찾는다.
80. 群而不黨군이부당 <위령공> : 무리를 짓지만 당파를 만들지 않는다.
81. 衆惡必察중오필찰 <위령공> : 여러 사람이 미워하더라도 반드시 살펴본다.
82. 人能弘道인능홍도 <위령공> : 사람이 도를 넓히는 것이다.
83. 不讓於師불양어사 <위령공> : 스승에게도 양보하지 않는다.
84. 有敎無類유교무류 <위령공> : 가르침은 있으나 종류에 대한 차별은 없다.
85. 益者三友익자삼우 <계씨> : 유익한 세 벗
86. 君子三戒군자삼계 <계씨> : 군자는 세 가지 경계할 것이 있다.
87. 君子三畏군자삼외 <계씨> : 군자는 세 가지 두려워하는 것이 있다.
88. 生而知之생이지지 <계씨> : 태어나면서부터 안다.
89. 見得思義견득사의 <계씨> : 이익을 보면 의로움을 생각한다.
90. 割鷄牛刀할계우도 <양화> : 닭 잡는 데 소 잡는 칼을 쓴다.
91. 寬則得衆관즉득중 <양화> : 너그러우면 여러 사람을 얻는다.
92. 故舊不棄고구불기 <미자> : 옛 친구는 버리지 않는다.
93. 切問近思절문근사 <자장> : 간절하게 묻고 가까이 생각한다.
94. 小人必文소인필문 <자장> : 소인은 반드시 꾸며 댄다.
95. 君子三變군자삼변 <자장> : 군자는 세 번 변한다.
96. 信而後諫신이후간 <자장> : 믿음을 얻은 뒤에 충고해야 한다.
97. 學優則仕학우즉사 <자장> : 배우고 남는 힘이 있거든 벼슬을 해야 한다.
98. 允執其中윤집기중 <요왈> : 진실로 중용을 잡아라.
99. 惠而不費혜이불비 <요왈> : 은혜를 베풀지만 허비하지 않는다.
100. 知言知人지언지인 <요왈> : 말을 알아야 사람을 안다.
《논어》는 어떤 책인가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