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KDC 카테고리

KDC : 280
도서 동남아의 이슬람화. 2,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에서의 정치, 사회문화의 다양성과 갈등
  • ㆍ저자사항 김형준,
  • ㆍ발행사항 서울: 눌민, 2017
  • ㆍ형태사항 470 p.; 22 cm
  • ㆍISBN 9791187750093
  • ㆍ주제어/키워드 동남아 이슬람 종교 경제
  • ㆍ소장기관 논산열린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NE0000078975 v.2 [열린]종합자료실
280-김962ㄷ-2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동남아의이슬람화'시리즈 2권. 1970년대 이후 확산된 이슬람 부흥운동은 서구식 근대화가 만들어낸 다양한 문제들을 이슬람적 원칙으로 바로잡을 수... 자유를 보장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그리고 성별이나 종교, 입장의 차이에서 오는 다양한 이해관계를 제대로 수렴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은 중요하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동남아의 이슬람화 2 - 김형준.홍석준 엮음
'동남아의 이슬람화' 시리즈 2권. 1970년대 이후 확산된 이슬람 부흥운동은 서구식 근대화가 만들어낸 다양한 문제들을 이슬람적 원칙으로 바로잡을 수 있다는 신념을 내포하고 있다. 이슬람은 단지 종교적 경건성이나 개인적 도덕성, 또는 의식의 고양과 같은 사적인 신앙의 차원을 넘어 공적 영역인 현실 정치에 대한 대안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18678047&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머리말 5

1. 이슬람화와 성적 표현의 자유:
인도네시아의 미스월드 반대시위를 중심으로 (김형준) 23
1. 들어가며
2. 성적 표현을 둘러싼 이슬람 급진 세력의 대응
3. 미스월드 반대시위의 전개와 결과
4. 이슬람 단체의 대응 및 단체 간 연합
5. 맺으며
참고 문헌

2. 현대 말레이시아에서의 전통예술과 이슬람화의 문화적 의미:
말레이시아의 민요 디끼르바랏, 방사완, 와양꿀릿을 중심으로 (홍석준) 61
1. 들어가며
2. 말레이시아 전통예술 세계의 특징과 의미: 말레이 음악을 중심으로
3. 말레이 음악의 문화적 다양성과 변화: 말레이 노래의 성격 변화와 이슬람 부흥
4. 맺음말에 대신하여: 이슬람 부흥에 따른 말레이 음악의 지속과 변화
참고 문헌

3. 인도네시아 이슬람식 정치실천:
이데올로기와 조직형태에 따른 정치개입 방식의 차이 (최경희) 105
1. 들어가며
2. 이슬람식 정치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이슬람식 정치와 이슬람식 민주주의
2) 현대 이슬람과 민주주의 양립 가능성 논쟁과 무슬림 민주주의 개념의 유용성
3) 인도네시아 이슬람의 사상적 스펙트럼
3. 대중조직의 정치개입으로서 이슬람식 정치실천
1) 전통주의, 근대주의 이슬람 단체의 정치활동
2) 근본주의, 급진주의 이슬람 단체의 정치활동
4. 이슬람 정당을 통한 이슬람식 정치실천
1) 온건주의와 실용주의 이슬람 정당의 강세와 근본주의 정당의 약세
2) 이슬람 정당들의 지지율, 정치행위 그리고 2014년 선거
5. 맺으며
참고 문헌

4. 필리핀 방사모로 이슬람 정당의 장래:
라나오델수르의 옴피아당이 남긴 교훈을 중심으로 (김동엽) 167
1. 들어가며
2. 민주주의와 필리핀 이슬람 정당정치
3. 옴피아당의 출현과 전개
1) 옴피아당의 출현 배경
2) 옴피아당의 설립과 전개
4. 필리핀 이슬람 정당의 한계와 가능성
5. 맺으며
참고 문헌

5. 말레이시아 총선에서 빠스에 대한 지지와 이슬람화의 상관관계:
끌란딴 주의 사례 (이재현) 219
1. 들어가며
2. 이슬람 환경의 변화와 빠스에 대한 지지
3. 끌란딴 주에서 빠스에 대한 지지 양상
4. 맺으며
참고 문헌

6. 참파 왕국의 해양 교류와 이슬람 (윤대영) 243
1. 들어가며
2. 해양 루트의 발달과 경제 교류
3. 이슬람의 도래와 전파
4. 맺으며
참고 문헌

7. 필리핀의 이슬람화:
이슬람 교육의 발전과 마드라사 통합교육 (조태영) 275
1. 들어가며
2. 필리핀 이슬람 문명의 유입과 오늘날의 이슬람 사회
3. 서구 식민시대 필리핀 이슬람 사회의 가치관과 교육의 변화
4. 독립 이후 필리핀 이슬람 교육의 발전
1) 마드라사의 정부 인가
2) 이슬람연구소 개설
3) 이슬람 교육회담 및 행사 개최
5. 마드라사 통합교육의 현황과 제반 문제
1) 마드라사 통합교육 내용
2) 마드라사 통합교육에 대한 이슬람 사회의 입장
(1) 무슬림 학자 및 교사
(2) 무슬림 학생 및 학부모
3) 마드라사 통합교육 시행에 따른 주요 문제점
(1) 이슬람 교과목 커리큘럼 및 교과서의 부재
(2) 낙후된 마드라사 시설과 서방 국가의 지원
(3) 민다나오 무슬림자치구의 취학률 하락
4) 마드라사 통합교육에 대한 정부 정책 입안자들의 입장과 의도
6. 맺으며
참고 문헌

8. 필리핀 사회 속의 무슬림 소수민족:
필리피노와 모로의 평화적 공존을 향하여 (김동엽) 319
1. 들어가며
2. 기존 연구와 이론적 논의
3. 필리핀 민다나오 이슬람 분쟁의 성격
1) 모로 불만의 심화
2) 국내외 환경과 불만의 조직화
3) 모로 분쟁 해결을 위한 노력과 성과
(1) 1974년 트리폴리협정과 1996년 최종평화협정
(2) 2014 방사모로기본협정: 분쟁의 종결인가, 또 다른 시작인가
4. 맺으며
참고 문헌

9. 인도네시아의 무슬림과 기독교도의 관계:
자바 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형준) 367
1. 들어가며
2. 기독교도의 증가와 이슬람 부흥
1) 자바의 기독교도 증가 추세
2) 이슬람 부흥과 기독교화에 대한 태도 변화
3. 기독교, 기독교도, 기독교화에 대한 무슬림의 시각
1) 조사지 개관
2) 이종교도 간 관계에 대한 무슬림들의 태도
4. 개종
5. 맺으며
참고 문헌

10. 서파푸아 무슬림과 기독교도 간 긴장과 갈등의 원인 (조태영) 397
1. 들어가며
2. 서파푸아 이슬람의 초기 유입과 성장
3. 네덜란드의 기독교 전파와 서파푸아의 기독교 정체성
4. 서파푸아 무슬림과 기독교도 간 갈등 사례
1) 마녹와리: 이슬람 대사원 건립 계획과 복음지역법규 초안
2) 카이마나: 예배 콘서트와 크리스마스트리 설치
3) 자야푸라: STAIN 건립
5. 갈등의 원인
1) 종교적 배경
(1) 인도네시아 이슬람 사상의 변화
(2) 이슬람과 기독교 내 급진단체 등장
2) 사회적 배경
(1) 수하르또 정부 정책과 퇴진 이후의 영향
(2) 말루꾸 분쟁의 영향
(3) 서파푸아 이슬람 역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
6. 맺으며
참고 문헌

찾아보기 459
이 책을 쓴 사람들 467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