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152.222
도서 나 홀로 읽는 도덕경: 사유는 혼자 떠나는 여행이다: 최진석과 함께하는 노자 도덕경의 새 독서법
  • ㆍ저자사항 최진석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시공사, 2021
  • ㆍ형태사항 375 p.; 21 cm
  • ㆍISBN 9791165795054
  • ㆍ주제어/키워드 철학 중국철학 중국철학자 노자 도덕경
  • ㆍ소장기관 논산열린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NE0000049139 [열린]종합자료실
152.222-최928ㄴ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2500년이 지나도록 빛나온 지혜의 5천 자를 오늘 나는 어떻게 읽을 것인가?20여 년간 수많은 강연과 저술을 통해 도가철학과 인문학적 통찰을 역설해온 시대를 선도하는 철학자 최진석의 신간 『나 홀로 읽는 도덕경』은 노자 철학의 정수 『도덕경』의 새 독서법을 제시한다. 2500년이 넘도록 고전으로 살아...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나 홀로 읽는 도덕경 - 최진석 지음
『도덕경』에 대한 수많은 질문과 대답들과 더불어 그간 많은 이들이 『도덕경』에 가졌던 궁금증들, 그가 스스로 중요하다고 여기는 『도덕경』의 핵심들을 모아, 이 내용을 나침반 삼아 누구나 ‘나 홀로 읽기’에 도전해볼 수 있도록 40문40답으로 정리했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67994823&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들어가는 말 9

1부 묻고 답하는 도덕경

도덕경을 읽기 전에
노자는 누구이고 도덕경은 어떤 책입니까?
노자가 살았던 춘추전국시대는 어떤 시대입니까?
동양철학은 노자 이전에 어떠했습니까?
사상과 철학은 어떻게 다릅니까?
도덕경 판본이 여럿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노자와 공자의 사상은 어떻게 다릅니까?
노자와 공자는 인간을 어떻게 바라봤습니까?
노자의 표현 방식은 어떻습니까?
노자 사상과 법가 사상의 관계는 어떻습니까?
도경과 덕경의 특징은 각각 무엇입니까?
덕이 등장한 의미는 무엇입니까?

도덕경 속으로
이름 붙이는 것을 부정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노자의 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노자의 관계론적 사유를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노자에게 자연은 무엇입니까?
노자 사상에서 여성성이란 무엇입니까?
노자 사상에서 물은 어떤 특성을 갖습니까?
눈이 아니라 배를 위하는 게 무엇입니까?
노자에게 몸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시와 견, 청과 문은 어떻게 다릅니까?
손님은 무엇을 의미합니니까?
명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진정한 앎을 어떻게 찾아가야 합니까?
구부러짐이 자연을 따르는 것입니까?
선과 악 같은 대립항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항무욕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뺏고 싶으면 주어야 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입니까?
국가의 통치자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하라는 의미가 무엇입니까?
대기만성과 대기면성은 어떻게 다릅니까?
무위와 갓난아기 상태는 어떻게 연결될까요?
백성들을 우직하도록 한다는 게 무슨 의미입니까?
행적이 아니라 계약서를 따진다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나라를 작게 하라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도덕경의 현재와 미래
현대 사회에서 도덕경은 어떤 길잡이가 될 수 있을까요?
노자의 철학이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할 대안이 될까요?
노자 사상의 해체주의적 면모는 어떻습니까?
그동안 노자를 계속 이야기해온 이유가 무엇입니까?
이 시대의 젊은이는 어떤 길을 찾아야 할까요?
우리 시대의 철학과 문학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요?


2부 나 홀로 읽는 도덕경
제1장 온갖 것들의 문
제2장 서로 살게 해주는
제3장 무위의 다스림
제4장 비어 있으나 끝이 없는
제5장 풀무와 같은
제6장 미묘한 모성
제7장 장생의 까닭
제8장 물의 덕
제9장 물러날 순간
제10장 무지의 태도
제11장 무의 기능
제12장 눈을 위하지 않는다
제13장 내 몸과 같이
제14장 아무것도 없는 모습
제15장 마치 손님처럼
제16장 오래가는 길
제17장 백성들과 통치자
제18장 대도가 망가지면
제19장 이상을 끊으면
제20장 홀로 우매한
제21장 황하고도 홀하다
제22장 구부리면 온전해지고
제23장 자연스러운 것
제24장 자신을 드러내면
제25장 소리도 모양도 없이
제26장 중후하고 안정된 것
제27장 스승과 거울
제28장 되돌아가다
제29장 뜻대로
제30장 거기서 멈추기
제31장 전쟁과 병기
제32장 항상 이름이 없는
제33장 자신을 아는 자
제34장 대도의 넓음
제35장 태평한 세상의 도
제36장 부드럽고 약한 것
제37장 욕망 없는 고요
제38장 버리고 취하는 것
제39장 하나를 얻어서
제40장 유와 무
제41장 감춰져 드러난
제42장 음을 진 채 양을
제43장 무위의 유익
제44장 어느 것이 중요한가
제45장 잘 이뤄진 것은
제46장 만족을 앎
제47장 보지 않고도
제48장 덜고 또 덜어내고
제49장 성인의 마음
제50장 사는 길과 죽는 길
제51장 도와 덕
제52장 이 세계의 진상
제53장 대도와 비탈길
제54장 잘 심어진 것
제55장 조화를 알면
제56장 아는 자는
제57장 나라를 다스리는 법
제58장 정해진 것은
제59장 오로지 아끼다
제60장 작은 생선 굽듯
제61장 자신을 낮추기
제62장 만물이 의지하는 것
제63장 어려운 일과 쉬운 일
제64장 잃지 않는 법
제65장 지혜와 우직
제66장 위에 서고 싶다면
제67장 위대한 보물
제68장 싸우지 않는 덕
제69장 적이 없다는 것
제70장 이해하지 못하는구나
제71장 모르는 사람의 병
제72장 힘들게 하지 않으면
제73장 용기와 망설임
제74장 죽음을 관장하는 것
제75장 위에서 유위를 행하면
제76장 강한 것과 유약한 것
제77장 자연의 도와 인간의 도
제78장 정면으로 하는 말
제79장 계약서와 행적
제80장 나라를 작게 하면
제81장 모두 베풀어도 갖게 되는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