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813.6
도서 중금: 왕의 목소리. 2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EM0000083377 v.2 [강경]종합자료실
813.6-임965ㅈ-2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소설 『중금』, 드라마 제작 확정 ! 2016 대한민국콘텐츠대상 스토리 부문 우수상 수상작 ! 2019 스토리움 스토리 매칭 제작지원사업 선정작 경종, 영조, 사도 세자, 정조로 이어지는 개혁 군주들의 장엄한 이야기 백성의 나라를 꿈꾸었던 왕들의 비밀문서가 열린다! 1762년 7월(음력 5월), 영조는 하나밖에 없는 아들인 세자 이선을 폐위하고 뒤주에 가두어 죽인다. 역사는 이 비극적인 사건에 ‘임오화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8일 만에 이선이 죽자 영조는 그를 세자에 복위시켰을 뿐 아니라 사도(思悼)라는 시호를 내린다. 자신이 잔인하게 죽인 자식을 애도하고 슬퍼하는 영조의 이중적인 모습은 우리 역사의 가장 아이러니한 장면으로 남아 있다. 그런데 왜 영조는 하나뿐인 세자를 죽여야만 했을까? 한여름 땡볕 아래의 뒤주 속에서 8일 동안이나 아들이 고통 받도록 내버려두었던 비정한 아버지는 왜 아들의 죽음을 슬퍼했을까? 작가 임정원은 이 모순적이고도 극적인 역사의 한 페이지에서 당시 조선 사회를 지배하고 있던 무거운 기류를 감지했다. 만인지상의 존재인 왕이 외동아들을 죽이도록 만든 배경에 당시 사회를 지배하던 실질적인 권력층인 ‘관료’가 도사리고 있음을 간파한 것이다. 그렇다면 이 사건은 당대의 실권을 놓고 대치한 왕과 관료의 싸움에서 왕이 패배했음을 뜻하는가? 그렇다면 영조와, 사도 세자의 아들인 정조가 강력한 왕권을 구축하고 개혁을 진두지휘했다는 사실은 또 하나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혹시 사도 세자의 비극적인 죽음이 강고한 왕권을 구축하는 불쏘시개가 되었던 것은 아닐까? 작가 임정원은 사도 세자의 비극적인 죽음을 통해 한 편의 장엄한 역사를 새롭게 구성했으며,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부당한 권력의 실체를 고발하는 한편 불합리하고 불공정한 세상을 타파하려 애써온 수많은 의인들을 되살려냈다. 그리고 이 ‘의인’의 중심에 ‘중금(中禁)’이 있다. 단 한 번도 역사의 조명을 받지 못했으나, 지근거리에서 보필하며 왕의 뜻과 목소리가 세상에 올바르게 전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맡았던 존재들의 이야기가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그동안 수많은 대중 매체와 예술 장르의 원천 콘텐츠가 되었던 사도 세자의 죽음을 이보다 더 박진감 넘치고 통쾌하게 풀어낸 이야기는 없었다. 아울러 ‘신계’인 왕실과 ‘인간계’인 백성 사이에서 역사의 물줄기가 옳은 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 희생했던 숨은 주역, 중금을 만나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소설 『중금』의 드라마화가 결정된 만큼 영상 속에서 중금이 어떤 모습으로 그려질지 기대가 크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