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331.5412
도서 한국의 과학기술과 시민사회
  • ㆍ저자사항 이은경 지음
  • ㆍ발행사항 파주: 들녘, 2022
  • ㆍ형태사항 363 p.: 삽화; 24 cm
  • ㆍ총서사항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한국의 과학과 문명; 023
  • ㆍISBN 9791159257124
  • ㆍ주제어/키워드 과학기술 시민사회 시민참여 국가주의 관료주의 사회문제
  • ㆍ소장기관 논산열린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NE0000066891 [열린]종합자료실
331.5412-이553ㅎ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견고한 과학기술 국가주의에 대한 신생 시민사회의 도전, 그 상호작용과 향후 전망 이 책은 한국이 산업화, 민주화 과정을 통해 시민사회로 나아가는 동안 주류 과학기술 담론으로서 과학기술 국가주의와 기술관료주의가 형성되고, 시민사회에 의해 도전받고, 그 상호작용의 결과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시민사회의 참여적 전환이 시도되었음을 보이고 그 한계도 짚어본다. 한국에서 과학기술은 언제나 국가발전과 연결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과학조선 건설, 산업화 시기에는 과학기술입국, 세기 전환기에는 과학기술 중심국가 또는 제2과학기술입국이 강조되었다. 특히 1960년대 이후 한국의 정치권력은 과학기술 국가주의를 확장했고, 빠른 산업화와 경제성장에 힘입어 과학기술 국가주의는 한국 사회에 깊게 뿌리내릴 수 있었다. 과학기술 국가주의와 그것을 떠받치는 강력한 정치권력 아래서 기술관료주의 방식의 과학기술 거버넌스가 자리잡았다. 기술관료주의는 기술관료들과 민간의 과학기술 전문가들이 중요 의사결정 과정을 지배하는 행정체계다. 그러나 1987년 정치 민주화 이후 시민사회의 성장에 힘입어 이렇게 견고했던 과학기술 국가주의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한다. 6월 항쟁으로 절차적 민주주의가 이루어지자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요구들이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고, 사회변혁운동에 참여했던 중간층들에 의해 새로운 사회운동 의제가 발굴되면서 과학기술 때문에 생긴 사회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공간도 열리기 시작했다. 주된 관심은 과학기술 국가주의와 기술관료주의에 대한 시민사회의 도전과 극복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정리하는 것이다. 먼저 1980년대 이전에 확립된 과학기술 국가주의와 기술관료주의 때문에 과학기술에 대한 시민사회의 통제 시도가 다른 분야의 시민운동에 비해 지체되었다. 또한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에 과학기술에 대한 시민사회의 통제가 일부 제도화되었으나 그 실천 과정에서는 여전히 기술관료와 전문가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정부가 일방적으로 결정한 과학기술 관련 정책에 대해 시민사회가 저항하고 그 결과로 시민사회의 요구를 관철한 사례는 환경운동에서 나왔는데, 이는 시민운동과 민중운동이 결합된 형태였기 때문이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