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911.06
도서 35년. 7, 1941-1945 밤이 길더니… 먼동이 튼다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NE0000047319 v.7 [열린]종합자료실
911.06-박466ㅅ-7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믿고 읽는 박시백의 『35년』 완간! 여성 독립운동가부터 밀정 등 친일 부역자까지, 인물과 사건이 살아 숨 쉬는 35년!박시백 화백의 『35년』은 일본에 강제 병합된 1910년부터 1945년 해방까지 일제강점기 우리의 역사를 만화로 다루고 있다. 광복 75주년을 맞아 전 7권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특히 6...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35년 1~7 세트 - 전7권 - 박시백 지음
박시백 화백의 대하역사만화 <35년>은 일본에 강제 병합된 1910년부터 1945년 해방까지 일제강점기 우리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자료 조사와 정리, 콘티와 밑그림, 펜 작업, 채색 등 모든 과정을 직접 도맡아 했기 때문에 일정은 더뎠지만 장인의 작품처럼 완성도는 높아졌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47913882&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1권> 1910-1915 무단통치와 함께 시작된 저항

|프롤로그| 1910년대 전반, 세계는

제1장 조선총독부
총독에 의한 통치
헌병·경찰의 무단통치
차별과 동화주의
사상, 언론, 종교, 교육의 통제
식민지 경영과 경제의 장악
문명화와 홍보

제2장 식민지의 삶
친일의 선봉들
관리들과 하층의 친일
지주와 소작인 그리고…
늘어나는 이민자들

제3장 망명하는 사람들
초기의 망명가들
신민회와 기획 망명
상하이로 간 사람들
대종교 인사들

제4장 국내의 저항
신민회의 해체
마지막 의병항쟁
비밀결사
대한광복회
그 밖의 움직임들

제5장 해외의 저항
연해주의 독립운동
만주의 독립군 기지 건설운동
미국 내의 독립운동
박용만과 이승만
하와이의 분열
중국 내의 독립운동

|부록|
1권 연표
1권 인명사전
사료 읽기
참고문헌


<2권> 1916-1920 3‧1혁명과 대한민국임시정부

|프롤로그| 1910년대 후반, 세계는

제1장 독립을 향한 꿈
민족운동의 약화와 러시아의 정세
한인사회당
민족자결주의와 상하이 지역의 대응
미주 지역의 대응
2·8 독립선언

제2장 1919년 3월 1일
거사의 준비 과정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언하노라
만세운동의 시작
3·1만세운동의 확산

제3장 만세운동에서 혁명으로
야만적 진압
굴하지 않는 항전
폭력화하는 항쟁
국내의 3·1혁명

제4장 3·1혁명의 파장
해외로 번진 혁명
제국주의 세계의 반응
3·1혁명과 친일파의 움직임

제5장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출범과 활동
임시정부를 세우자
상하이임시정부의 시작
통합 임시정부로 가는 길
임시정부 조직과 활동
임시정부와 외교

제6장 그 밖의 이야기
1919년의 다른 일들
상하이파와 이르쿠츠크파

|부록|
2권 연표
2권 인명사전
사료 읽기
참고문헌


<3권> 1921-1925 의열투쟁, 무장투쟁 그리고 대중투쟁

|프롤로그| 1920년대 전반, 세계는

제1장 무단통치에서 문화통치로
문화통치의 설계자들
사이토 총독과 산미증식계획
식민 교육의 변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잡지와 문학의 시대

제2장 친일파를 길러라
온건독립파를 회유하다
참정론, 자치론, 문화운동론
친일 조직의 범람
밀정의 삶
대표적 친일 경찰들

제3장 멀고 먼 무장투쟁의 길
무장투쟁과 독립군 진영
봉오동전투
청산리전투
경신참변
자유시의 비극

제4장 의열단
의열단의 결성
의열투쟁의 서막
열혈 김상옥, 의문의 황옥
조선혁명선언
의열단의 노선 변화

제5장 임시정부의 내분
갈등의 출발
국민대표회의
개조파, 창조파, 임정고수파
이승만의 탄핵과 임시정부의 혼란

제6장 신사조와 대중의 진출
해외파 사회주의 운동
국내 사회주의 운동의 성장
노농대중의 진출
청년운동, 여성운동, 형평운동
무정부주의 투쟁

|부록|
3권 연표
3권 인명사전
사료 읽기
참고문헌


<4권> 1926-1930 학생 대중아 궐기하자

|프롤로그| 1920년대 후반, 세계는


제1장 조선공산당
화요파 조선공산당의 창당
제2차 조선공산당
ML파 조선공산당
당의 해체와 12월 테제
만주의 공산주의 운동

제2장 단일전선을 위하여
삼부의 결성과 활동
민족유일당 건설
삼부통합운동과 유일당운동의 실패

제3장 신간회운동
신간회의 창립
신간회의 조직과 활동
신간회의 해소

제4장 열혈 학생운동
6·10만세운동
학생운동의 성장
광주학생운동의 발단
광주학생운동의 전개
광주학생운동의 전국화

제5장 민중들의 투쟁
노동운동의 성장
원산총파업
이어지는 파업투쟁들
농민들의 투쟁
청년운동, 여성운동, 형평운동 2

제6장 계속된 의열투쟁, 그리고…
나석주와 이수흥
장진홍과 조명하
박용만과 김좌진의 죽음
김사국과 그의 가족

|부록|
4권 연표
4권 인명사전
사료 읽기
참고문헌


<5권> 1931-1935 만주침공과 새로운 무장투쟁

|프롤로그| 1930년대 전반, 세계는

제1장 식민지 정책의 변화
우가키 총독
농공병진정책
내선융화
1930년 전후의 경성

제2장 사회주의 계열의 투쟁
각 그룹의 공산당재건운동
이재유 그룹의 재건운동
적색노조운동
적색농조운동
제주해녀투쟁

제3장 민족주의 계열의 운동
농촌운동
국학운동
동아와 조선의 경쟁

제4장 만주의 무장항쟁
한국독립군의 투쟁
조선혁명군의 투쟁
항일유격대의 투쟁
민생단
반민생단 투쟁
간도협조회의 파괴공작

제5장 중국 본토의 항쟁
임시정부와 한인애국단
이봉창 의거
윤봉길 의거
김구와 김원봉

제6장 여성 독립투사와 아나키스트
윤희순과 남자현
신채호와 이회영

|부록|
5권 연표
5권 인명사전
사료 읽기
참고문헌


<6권> 1936-1940 결전의 날을 준비하라

|프롤로그| 1930년대 후반, 세계는

제1장 억압 속의 내선일체
미나미 총독
인력의 강제 동원
황국신민화
사상전향 정책과 전향자들
수양동우회와 흥업구락부
친일 조직들

제2장 국내의 저항
1930~1940년대의 종교운동
일장기말소사건
공산주의 운동 세력
대중운동

제3장 동북항일연군
조국광복회와 보천보 습격
김일성 전설
일제의 토벌 전략과 간도특설대
백척간두의 항일연군
투항자들, 협력자들

제4장 중국 관내 항일 세력의 대응
민족혁명당
한국국민당과 장정기 임정
통합을 위한 진통
조선의용대와 광복군 창설

제5장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
긴장하는 고려인
악몽의 시베리아 횡단철도
스파이란 이름으로

|부록|
6권 연표
6권 인명사전
사료 읽기
참고문헌


<7권> 1941-1945 밤이 길더니… 먼동이 튼다

|프롤로그| 1940년대 전반, 세계는

제1장 발악하는 제국
총력전 체제로
전시 경제, 전시 생활
징병제, 학도병제
강제징용, 위안부

제2장 친일 대합창 1
친일파들의 인식과 주요 친일 단체들
귀족들
관리들
일본 육사 출신들
만주군관학교 출신들과 만주의 친일파들

제3장 친일 대합창 2
명망가들
문인들
연극계, 영화계, 무용계
미술계
음악계
여성계, 교육계, 언론계
종교와 종교인들
재계 등

제4장 폭압 속 저항
노동자, 농민의 저항
청년 학생들의 저항
일본 군대로부터의 탈출 투쟁
조선어학회사건, 그리고…

제5장 마지막 항전과 건국 준비
임시정부와 광복군
조선의용군
김일성 그룹
이승만과 재미 한인 세력
건국동맹, 국내 공산주의 그룹
각 세력의 통일전선 결성 노력
일본 내의 민족운동

제6장 일제의 패망과 해방
해방?
고국으로 가는 길
해방을 보지 못하고
패전 후의 일본

|부록|
7권 연표
7권 인명사전
사료 읽기
참고문헌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