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911.063
도서 다시, 독립의 기억을 걷다 : 시대와 소통하는 만주·연해주 항일역사 기행
  • ㆍ저자사항 노성태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살림터, 2018
  • ㆍ형태사항 320 p.: 삽화; 23 cm
  • ㆍISBN 9791159300615
  • ㆍ주제어/키워드 독립운동 항일역사 한국사 민족운동
  • ㆍ소장기관 강경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EM0000074001 [강경]종합자료실
911.063-노736ㄷ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시대와 소통하는 만주 연해주 항일역사 기행 [다시, 독립의 기억을 걷다]. 만주·연해주 독립운동의 생생함을 고스란히 담았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다시, 독립의 기억을 걷다 - 노성태 지음
만주.연해주 독립운동,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우리가 꼭 만나야 할 그 땅, 그 사람들을 찾아서 <다시, 독립의 기억을 걷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096291&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전설로 남은 독립 영웅들 _4

1부 연해주 답사

1장 항일독립운동의 성지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1. 극동대학교 한국학 대학 _17
내가 만난 고려인 삐올레타 | 장도빈과 한국학 대학
2. 연해주 독립운동의 메카 신한촌 _21
연해주에서의 독립운동 | 라게르산 언덕의 달동네
독립운동의 메카 신한촌 | 신한촌 기념탑 | 전설로 남은 독립 영웅들
3. 한인들의 첫 둥지 개척리 마을 _33
개척리 마을 | 아르세니예프 향토 박물관 | 블라디보스토크 역

2장 이상설과 최재형의
혼이 서린 우수리스크

1.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의 출발지 _44
라즈돌리노예 역 | 명령번호 1428-326 | 소련의 역사 왜곡
2. 국외 독립운동의 선구자 이상설 _50
헤이그 특사로만 알려진 이상설 | 수이푼 강변의 이상설 유허비
자결로 저항한 이범진 | 스물한 살의 헤이그 특사 이위종
3. 연해주 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 _59
한국의 체 게바라 | 드라마 같은 어린 시절 | 권업회 회장으로 선출되다
의병조직부터 빨치산 운동까지 | 우수리스크의 최재형 집
4. 우정 마을에서 만난 홍범도의 손녀딸 _67
미하일로프카 우정 마을 | 홍범도의 외손녀딸 김알라
5. 우수리스크의 독립 유적지 _78
4월 참변 추모비 | 대한국민의회와 고려교육전문학교

3장 한말 의병운동의 중심지연추
1. 13도 의군 창의대장 유인석 _83
13도 의군 결성지 암밤비 | 유인석과 「처변삼사」
2. 50만 고려인 역사의 첫 장을 연 지신허 _90
지신허 마을 옛터 | 1868년의 지신허 마을
3. 안중근 단지동맹비 _97
핫산 전망대 | 최재형이 살았던 상연추 마을
동의회와 연추의병훈련소 | 단지동맹비

2부 만주 답사

4장 독립군 최초의 승전지
봉오동

1. 훈춘에서 떠올린 간도·자유시 참변 _115
조작된 훈춘사건의 비극 | 독립군의 좌절, 자유시 참변
2. 댐이 되어 버린 봉오골 _121
봉오동 전투 | 봉오동 전적지
3. 봉오동 전투의 영웅 홍범도 _128
평양 진위대 나팔수, 스님 되다 | 홍범도는 일자무식?
홍범도의 의병 활동
4. 극장 수위가 된 홍범도 _135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 | 수위 홍범도가 관람한 연극 ‘홍범도’
홍범도 거리에서

5장 김약연·윤동주의 얼이 서린
명동촌과 용정

1. 간도 대통령으로 불린 김약연 _141
명동, 조선을 밝힌다 | 간도 대통령으로 불린 김약연
명동학교 옛터 | 명동교회 | 윤동주 생가
2. 간도에 울려 퍼진 만세 함성 _156
3·13 반일의사릉 | 15만 원 탈취 의거지
3. ‘토지’의 길상이 독립운동을 펼친 용정 _162
대성학교 역사 기념관 | 반일 교육의 터전 서전서숙
용두레 우물 | 비암산의 당산나무 일송정

6장 대한민국 임시정부 교통국이
설치되었던 단동

1. 요동반도의 끝자락 도시 다롄 _175
한반도의 운명을 갈랐던 요동 | 다롄에서 떠올린 이회영
2. 이륭양행의 도시 단동 _179
압록강 철교에 올라 | 안동 교통국 이륭양행 | 조선을 사랑했던 조지 L. 쇼
3. 압록강 연안의 독립운동 _186
광복군 총영이 있었던 관전현 | 고마령 전투

7장 독립전쟁 최대의 승리
청산리 대첩

1. 독립군 연합부대의 청산리 대첩 _191
청산리항일대첩기념비 | 청산리 대첩의 서곡
청산리 최대의 전투지, 어랑촌 | 청산리 대첩의 전과
2. 백야 김좌진의 생애 _201
노블레스 오블리주 | 애국계몽운동에서 항일 무장투쟁으로
북로군정서 총사령관이 되다 | 신민부 창설 | 누가 백야를 쏘았는가?
3. 국내외에 남아 있는 김좌진 관련 유적 _210
해림의 한중우의공원 | 순국의 현장 금성정미소
사당과 생가 | 화룡의 대종교 3종사 묘역

8장 안중근 의사의 혼이 서린
하얼빈과 뤼순

1. 아! 하얼빈, 하얼빈 _224
두 사람의 운명적인 만남 | 하얼빈 역에 새겨진 삼각형과 사각형
이토의 죄 열다섯 가지 | 안중근이 묻히고자 했던 하얼빈 공원
동양의 아우슈비츠, 731부대
2. 안중근 의사가 순국한 뤼순 감옥 _237
144일 밤을 홀로 지낸 독방 | 안중근 사형은 짜 놓은 각본
안중근 의사의 최후진술
3. 안중근 북위 38도 _247
남북 공동 유해 발굴 | 위국헌신 군인본분
4. 신중국 건설 100대 영웅, 정율성 _254
하얼빈 정율성 기념관 | 신중국 창건 영웅 100인
중국 혁명 음악의 대부 | 노블레스 오블리주, 정율성의 형제들

9장 고구려 문화유산의 보고집안

1. 천혜의 요새 졸본성 _265
오녀산산성은 우루산성으로 불러야 | 우루산성에서 만난 온돌
2. 고구려 문화유산의 보고 집안 _272
집안 입성 | 환도산성과 산성하 무덤떼 | 아! 광개토태왕릉비
동양의 피라미드 장수왕릉 | 오회분 5호 무덤 | 국동대혈
광개토태왕릉
3. 유리벽에 갇힌 광개토태왕릉비 _288
다시 찾은 집안 | 백두산 천지

10장 해동성국 발해의 수도
흑룡강성 영안시 발해진

1. 만주의 발해 유적 _296
160년 발해 수도 상경용천부 | 흥륭사 석등은 발해 문화의 규모
정혜·정효 공주 무덤
2. 고구려, 발해 역사를 삼켜 버린 동북공정 _306
동북공정이란 | 동북공정의 의도 | 유득공의 발해 인식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