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 331.5411
도서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 ㆍ저자사항 김희강 외
  • ㆍ발행사항 서울: 앨피, 2016
  • ㆍ형태사항 459 p.: 도표; 22 cm
  • ㆍ총서사항 디아스포라 휴머니티즈 총서; 002
  • ㆍ일반노트 2017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임
  • ㆍISBN 9791187430032
  • ㆍ주제어/키워드 외국인이주 차별 문화정치학 다문화주의
  • ㆍ소장기관 강경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GM0000013890 [강경]종합자료실
331.5411-김992ㅎ
예약불가 - 예약불가 상호대차신청

상세정보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 연구소 '디아스포라 휴머니티즈'총서의 두 번째 책. 한국에서 다문화주의가 정책적으로 시행된 것은 2000년대 중반, 이제 10여 년 남짓에 불과하다. 농촌 지역의 출산율 저하와 3D 업종의 노동력 부족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외국인 이주가 정부 차원에서 적극 유도된 것이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 김희강 외 지음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 연구소 '디아스포라 휴머니티즈' 총서의 두 번째 책. 한국에서 다문화주의가 정책적으로 시행된 것은 이제 10여 년 남짓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주민과 그 문화에 대한 선주민의 차별적 인식과 적대적 태도는 여전히 한국 사회의 갈등 요소로 내재해 있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85897290&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머리말_ 다문화주의를 다시 펼쳐 들며

제1부 ‘다문화주의’라는 문제

1/ 다문화주의의 역설 - 김희강
다문화주의 실패? |다문화주의 성공과 실패 : 무엇이 좌우하는가?|이민자 문화에 대한 평가|이주 수용국의 국경 통제력|이주 수용국의 국익|후기 다문화 시대의 고민

2/ 다문화 시대의 시민권 아포리아 : 누가 시민이며, 시민권 향유의 주체는 누구인가? - 이용승
다문화 시대 시민권과 다문화적 권리의 모순|시민권과 다문화주의|보편성과 특수성의 아포리아|누가 시민인가 : 탐색적 대안

3/ 귀화 이주민과 문화적 권리 - 김현미
외국인은 어떻게 한국인이 되는가? |귀화와 다문화시민권 |외국인의 개명과 ‘국민되기’ |복수의 법치주의Plural Legalism는 가능한가? |품행방정이란? |다문화적 시민권을 향하여

4/ 한국 다문화 사회에 대한 철학적 반성과 선진유가의 다원주의 : ‘分을 높여 合을 이루고(崇分擧合), 異를 구하여 同을 이룬다 (求異存同) - 윤석민
한국 다문화주의에 대한 문제 제기 |공자의 인仁과 맹자의 심心 : 다원가치의 총칭 |《주역》 경전 체제 : 다원적 구조 |《주역》 역리易理와 음양 관계 : 다원적 세계관 |《주역》 괘효의 수시적변 : 다원적 가치 |다원주의 방법론 제안 : 分을 높여 合을 이루고(崇分擧合), 異를 구하여 同을 이룬다(求異存同)

제2부 한국의 ‘다문화’ 인식 비판

1/ ‘다문화’는 어떻게 이주민 가족을 비하하는 말이 되었나? : 다문화 가족 만들기와 이주민의 범주화 - 구본규
‘다문화’= 불우 가정? |효과적인 민족주의로서의 다문화주의와 이주민의 범주화 |‘가족’의 탄생 : ‘다문화 가족’ 범주의 형성 과정 |‘또 하나의 가족’ : 이국적 국민으로서의 ‘다문화 가족’ |‘다문화 가족’ 만들기에 대한 이주민들의 대응 |‘다문화’를 넘어선 이민자의 사회 통합

2/ 다문화 시대 소수자의 ‘명칭’ 연구 : 결혼을 통해 이주한 여성 집단의 ‘명칭’ 분석을 중심으로 - 이화숙
‘명칭’의 현황 |‘명칭’의 구성 요소 |‘명칭’의 구조 |‘명칭’을 구성하는 의미 요소 |차별 없는 ‘결혼이주민’

3/ 대중매체와 다문화적 토크의 상상 - 이진형 박종명
대중매체와 한국의 다문화주의 |여성, 노동자, 인재人才 |다문화적 ‘토크’의 조건 |‘다문화적 토크’라는 소망 |상상된 다문화주의

4/ 다문화 뉴스 제작 관행과 게이트키핑의 문화정치학 - 주재원
한국은 다문화 사회인가?|한국 사회의 다인종화 과정과 다문화 담론의 형성 |다문화 사회와 이데올로기적 매체로서의 공영방송 |텔레비전 뉴스 기자들의 게이트키핑 |뉴스 제작 관행 들여다보기 |이주민 관련 뉴스의 정형화 |내재화된 인종적 편견과 언어 권력|뉴스 제작 관행의 현실과 한계 |다문화 사회를 위한 공영방송의 역할

제3부 다문화사회의 문학, 번역, 교육

1/ 윤동주와 다문화적 주체성의 문학 - 오문석
윤동주와 만주의 지역성 |향수와 그리움, 그리고 만주의 발견 |협력을 통한 저항의 전략 |
불치의 병, 길 위의 주체성 |복수複數의 주체성에서 공허한 주체성으로 |다문화적 주체, 식민지와 제국의 외부

2/ 한국 다문화 문학의 가능성 : 손홍규 소설과 하종오 시의 ‘다문화 상상력’ - 김주영
시대의 표현으로서의 다문화|다문화적 삶과 유목적 사유|《이슬람 정육점》의 입양적 세계관|하종오 시의 ‘이주적 세계관’ |다문화세계와 관계 맺기

3/ 다문화주의에 대한 문화번역 실천 - 박미정 양명심
문화 번역으로 바라본 다문화주의와 혼종성|인류학적 민족지학에서의 문화 번역 |호미 바바의 문화 번역 |혼종성으로서의 문화 번역과 소수화 번역 |타자화 othering 번역 |소수화 번역 |다문화주의에 대한 문화 번역 실천

4/ 다문화 사회를 위한 인격 교육의 성격과 방향 - 박휴옹
인격 교육의 개념 및 성격의 재고찰|다문화 인격 교육의 방향 |다문화 교육의 목표를 통해 본 인격 교육의 가치 |다문화 인격 교육의 핵심 원리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