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KDC : 472
도서 (곽재식의)아파트 생물학: 소나무부터 코로나바이러스까지 비인간 생물들과의 기묘한 동거

소장정보

소장정보
등록번호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 ISBN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서비스
ZZ0000003310 [연무]짬짬이도서
472-곽853ㅇ
예약불가 - 예약불가 신청불가

상세정보

<네모반듯한 무채색 공간, 아파트에 숨은 별세계를 찾아서! “사람이 아닌 아파트 주민들을 소개합니다.” 아파트는 오늘날 도시를 상징하는 가장 일반적인 주거 양식이다. 커다란 단지를 만들어 사는 한국식 아파트가 현대 도시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을 정도다. 이 책은 SF 소설가이자 공학박사인 저자...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곽재식의 아파트 생물학 - 곽재식 지음
커다란 단지를 만들어 사는 한국식 아파트가 현대 도시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을 정도다. 이 책은 SF 소설가이자 공학박사인 저자 곽재식이 우리에게 익숙한 ‘아파트’라는 주거 공간을 건축의 개념이 아닌 생물학의 시선으로 바라본 이야기를 담았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59678358&copyPaper=1&ttbkey=ttbhcr98061138004&start=api

들어가며

1장 | 주변 환경에 맞추어 진화한 생물

소나무

왜 한국인은 하필 소나무를 좋아할까
소나무가 꿋꿋한 진짜 이유
무지갯빛 솔잎이 자라난다면
“소나무 같은 정치인” 대신 “잣나무 같은 정치인”
피톤치드는 정말 우리 몸에 이로울까
소나무의 미래를 바꾼 작은 실벌레

철쭉
한반도 철쭉에 러시아 학자의 이름이 붙은 사연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꽃나무
진달래와 철쭉을 구분하는 방법
두 얼굴을 가진 철쭉의 무기, 그레야노톡신

고양이
사람이 고양이를 길들인 이유
고양이 시대의 시작
아파트의 밤 고양이
검은 고양이와 마녀의 관계

황조롱이
매의 눈으로 무엇이든 본다
도시에 사는 황조롱이의 먹이
황조롱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이유
사랑스러운 황조롱이의 모습

2장 | 같이 살고 싶지 않지만 사실은 동거 중

빨간집모기

사람이 모기를 이긴 것일까
모기가 선택한 두 가지 삶의 방식
모기 날갯소리의 비밀
모기가 계절을 극복하는 방법
모기는 정말 쓸모없는 곤충일까

애집개미
가장 빠른 길을 찾는 현명한 방법
작지만 위대한 애집개미
개미는 화학자

집먼지진드기
0.3mm짜리 동물의 일생
0.3mm짜리 동물의 사랑
0.3mm짜리 동물 때문에 골치 아픈 사람들

지의류
변신 합체 생물, 지의류
내디딜 땅을 만들어 가는 생물
시간을 복원하는 마법사
도시에서 사라지고 다시 피어나고
미래를 지배할 지의류
지의류는 노화를 막을 수 있을까

3장 | 보이지 않는 것들이 만든 세계

곰팡이

죽은 것은 흙으로, 흙은 다시 새것으로
인류를 구한 곰팡이
곰팡이 포자가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

아메바
세균 농사를 짓는 아메바
서로 다른 두 생물이 하나로 합쳐진 이유
가시아메바는 어떻게 우리 곁으로 찾아올까

미구균
세균이 사는 아파트
지구 밖의 우주정거장까지 진출한 미구균
로봇을 움직이고 자동차를 달리게 하는 기술

코로나바이러스
바이러스와 인류의 전쟁
꼬리에 꼬리를 물고 퍼져 나가는 활동 방식
코로나19의 탄생
왕관을 쓴 바이러스
사람들이 바이러스를 이용하는 방법
아파트를 짓는 코로나19 바이러스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

천안시도서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는 자동수집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1127)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118 / Tel : 041-521-3721~2

Copyrightⓒ Cheonan-Si.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